국내에서 임시운행이 허가된 자율주행차 11대가 지난달까지 2만6000㎞를 '무사고'로 달린 것으로 집계됐다.
26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첫 자율차 임시운행 허가가 발급된 3월 4일부터 11월까지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 현대모비스, 서울대, 한양대, 교통안전공단 등 6개 기관이 임시운행을 허가받은 자율차 11대가 자율주행상태로 2만6000㎞를 달렸으며 주행 도중 사고는 발생하지 않았다.
이날 국토부는 자율차 주행실적과 함께 국민 700명과 자율차 전문가 37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자율차 윤리 및 수용성 설문조사' 결과도 공개했다.
조사결과를 보면 자율차에 탑승해본 전문가의 94%가 '3단계 자율차'가 상용화했을 때 이용하겠다고 답해 자율차를 타보지 못한 전문가(54%)와 일반 국민(54%)보다 자율차에 긍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3단계 자율차는 고속도로·자동차전용도로 등 제한된 조건에서는 완전한 자율주행이 가능하지만, 돌발상황 등이 발생했을 때는 운전자의 대응이 요구되는 수준이다.
완전한 자율주행이 이뤄지는 4단계 자율차로 질문대상을 바꿨을 때도 자율차를 이용해본 전문가의 82%가 상용화되면 이용하겠다고 답했다. 미탑승 전문가는 30%, 일반 국민은 52%가 이용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자율차 교통사고 때의 책임 소재에 대해선 자율차 운영자가 져야 한다는 답변이 전문가(44%)와 일반인(38%) 구분 없이 가장 많았다. 이어 제작사가 책임지거나 운영자·제작사 등이 공동으로 책임져야 한다는 답이 많았고 탑승자가 책임을 져야 한다는 답은 가장 적었다.
무인 자율차가 교통법규를 위반했을 때 책임자는 제작사, 소유자, 공동책임 순으로 많이 꼽혔다.
이번 조사에서 자율차 운행과 관련해 전문가들은 '사고발생 시 책임소재', 일반 국민은 '시스템 고장으로 발생하는 교통사고'를 가장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정혁 기자 jjangga@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