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7 시즌 상반기도 6월 한 달만 남겨놓고 있는 시점에서 각 급별 강자들의 상위등급 특별승급이 쉽지가 않다. 과거 상위등급에서 하위등급으로 강급된 선수들은 잠깐의 적응기를 가진 후 바로 강급 전 등급으로 자리를 찾아가는 모습을 보이곤 했다. 하지만 올해는 유독 특별승급자들이 적다. 특별승급 요건이 2회차 연속 1,2위 성적 유지에서 3회차 연속 1,2위로 강화된 탓도 있지만 선수들의 기량도 상향 평준화되어 특별승급이 한층 어려워진 것이다. 물론 그 중에서도 몸상태 좋고 훈련량이 꾸준한 상위 선수들은 특별승급 관문을 통과하고 있다.
올 시즌 현재까지 특별승급에 성공한 선수는 총 18명이다. 선발급 9명, 우수급 9명이 상위등급으로 특별승급 했는데, 이중 22기 신예들과 자력형 선수들이 대거 승급을 했다는 점이 눈에 띈다. 22기 신인 중 선발급에서는 김민준, 윤현구 등 7명이 우수급으로 진출했고, 우수급에선 정해민이 22기 최초로 특선급으로 특별승급에 성공했다. 22기 선수 비율로 따지면 약 50%가 상위 등급으로 진출한 것이다. 기존강자들 중에서는 상위등급에 올라갈 실력을 갖춘 선수들이 올라갔다는 평가다. 선발급에 어울리지 않았던 김형모, 한때 특선급을 호령했던 노태경, 김동관, 김우현 등도 다시 한번 특선급에서 만나 볼 수 있게 됐다.
명품경륜승부사의 이정구 기자는 "특별승급에 성공한 선수들의 면모를 볼 때 충분히 상위등급에서도 통할 수 있는 선수들만 특별승급에 성공하는 것이 분명하다. 따라서 하위등급에서 올라왔다고 무시해서는 안 된다. 대부분 자력형이 많아 기존 강자들이 활용대상으로 삼을 가능성 높다는 것을 명심해야겠다. 특히 22기들의 앞으로의 활약을 계속해서 지켜 볼 필요가 있다" 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