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림대의료원이 인공지능 구축기업인 두다지(주)와 함께 인공지능(AI) 기반 위내시경 영상 자동판독 시스템 상용화에 나선다.
연구진은 인공지능 모델이 다양한 단계의 위 신생물을 구별하도록 연구모델을 설계했고, 위 내시경 영상을 인공지능 모델에 기계 학습시켰다.
그 결과 인공지능 모델이 5가지 병변을 판독하는데 정확도가 84.6%로 나타났다. 인공지능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는데 사용하는 '곡선하면적(AUC, Area Under the Curve)' 점수에서 위암의 경우 '위암'의 경우 0.877, '위 신생물'의 경우 0.927로 나타났다. 이는 연구에 참여한 내시경 의사 중 일부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결과이며, 이 인공지능 모델이 실제 임상에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재준 한림대 뉴프론티어리서치연구소 소장(한림대춘천성심병원장)은 "이번 인공지능 모델을 계기로 조기 위암 예측 및 진단 정확도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이번 업무협약은 의료와 인공지능 기술이 만나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실질적인 실용화 모델을 개발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전했다.
한림대학교 뉴프론티어리서치연구소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젊은 의과학자 중점 육성 연구사업인 '임상의과학자 연구역량강화 사업'에 선정되어 4년간 3D 프린팅 기술, 빅데이터 분석 등 신 의료기술을 활용한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두다지(주)는 인공지능 인프라 환경 구축과 딥러닝 영상 분석에 특화된 기업으로 연구진의 연구 성과에 기반해 상용화 모델 개발에 참여한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