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국민 10명 중 1명이 주식투자…주식투자자 고령화 현상도 뚜렷

이정혁 기자

기사입력 2019-12-23 15:21


우리나라 인구 10명 중 1명 정도가 주식투자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예탁결제원과 통계청·행정안전부 등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12월 결산 상장법인 2216곳의 주식투자자(개인실질 주주 기준·중복주주 제외)는 총 555만6000명으로 주민등록인구인 5182만6000명의 10.7%에 달했다. 이 비중이 10% 선을 넘은 것은 처음이다.

10년 전인 2008년 말에는 8.0% 수준이었고 이후 꾸준히 올라 2017년 말 9.7%까지 상승했고 지난해 말 10% 선을 넘었다.

지난해 말 주식투자자를 지난해 12월 경제활동인구인 2758만2000명과 비교하면 20.1% 정도다. 경제활동인구 5명 중 1명 꼴로 주식투자를 하는 셈이다

인구 고령화처럼 그동안 주식투자자도 고령화 현상이 뚜렷했다.

주식투자자가 2008년 말 397만2000명에서 지난해 말 555만6000명으로 10년간 158만4000명(39.9%) 늘어나는 동안 50대 이상의 증가 폭이 월등히 컸다.

60세 이상 주식투자자는 2008년 말 46만4000명에서 지난해 말 114만3000명으로 무려 146.4%나 늘었고 50대 주식투자자는 78만7000명에서 142만8000명으로 81.4% 증가했다. 50대 이상이 132만명 늘어 전체 주식투자자 증가분의 82.7%를 차지했다.

반면 같은 기간 30대 주식투자자는 110만6000명에서 104만2000명으로 5.8% 줄었다. 전 연령층에서 유일하게 감소했다. 20대 주식투자자는 31만3000명에서 31만7000명으로 1.3% 증가에 그쳤고 40대는 122만8000명에서 153만4000명으로 24.8%, 20세 미만은 6만2000명에서 9만3000명으로 48.8% 각각 증가했다.


50대 이상 주식투자자는 그 수가 늘면서 비중도 크게 올랐다.

지난해 말 현재 주식투자자 중 50대 이상 비중은 46.3%에 달했다. 이 중 50대가 25.7%, 60세 이상 20.6%였다. 40대는 27.6%로 가장 많았고 30대 18.8%, 20대 5.7%, 20세 미만 1.7% 등이다.

이처럼 주식투자자가 고령화된 것은 인구 고령화 영향도 있겠지만 2000년대 초·중반 강한 주가 상승을 경험한 고령 투자자와 달리 젊은 층은 증시에 매력을 느끼지 못하면서 신규 유입이 적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업계에서는 젊은 층이 주식투자에 매력을 느끼게 하기 위해서는 해외 기업의 국내 증시 상장 유치 등 보다 적극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는 조언이다.
이정혁 기자 jjangga@sportschosun.com


▶2020 신년운세 보러가기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