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1조 원이 넘는 기업이 1998년 83곳에서 2018년 197곳으로 두 배 이상 증가했지만, 2012년 이후 증가세가 둔화하고 있어 우리나라 경제에 새로운 동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그러나 2016년에 180곳으로 2010년 수준으로 떨어졌으며, 2013년부터 2017년 사이에는 매출 1조 클럽 기업 수가 2012년보다 더 적었다. 이후 2018년(197곳)에서야 2012년 당시 기록인 192곳을 넘어섰다.
연도별 매출 1조 기업들의 전체 외형 규모는 1998년 375조원에서 2001년 513조원으로 증가했다. 2010년에는 1115조원으로 '1000조원' 시대를 맞았고, 2012년에는 1255억원까지 커졌다.
신경수 지속성장연구소 대표는 "2012년 이후 2018년까지 6년간 매출 성장이 평균 0.4%에 그쳐 국내 슈퍼기업들의 성장이 사실상 한계에 달했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본격화하면서 기존 사업 규제를 어떻게 허물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만들지가 과제로 남았다"고 말했다.
업종별로 매출 1조 클럽 기업을 보면 1998년 금융업이 21곳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건설업(9곳), 전기·전자업(8곳), 석유·화학업(7곳), 식품업(6곳) 순이었다. 금융업은 2018년에도 여전히 29곳으로 가장 많았다.
석유화학 업체는 1998년 당시 7곳에 불과했으나 2018년 23곳으로 2배 이상 증가했다. 같은 기간 식품업체도 6곳에서 19곳으로 늘었다. CJ제일제당, 롯데칠성음료, 대상, 오뚜기, 농심, 삼양사 등이 대표적이다. 1998년 당시 유통업도 1조 넘는 기업이 2곳에 그쳤지만 2018년에는 11곳으로 증가했다.
한편 21년 연속 매출 1조 클럽에 든 기업은 한화생명(금융), KT(통신), 에쓰오일(석유화학), 현대건설(건설), 대한항공(항공), 삼성중공업(조선), 롯데쇼핑(유통) 등이 있다.
같은 기간 빠짐없이 매출 10조원이 넘는 '초슈퍼기업'은 삼성전자, 삼성생명, 포스코, 한국전력 등 4곳이다. 현대자동차와 LG전자는 1998년 당시 매출이 10조원 미만으로 21년 연속 매출 10조 클럽 명단에서는 제외됐다.
이미선 기자 already@sportschosun.com
2020 신년운세 보러가기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