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소상공인들, 최저임금 일괄 적용 부정적 "규모, 업종별 차등 필요"

김세형 기자

기사입력 2020-01-21 14:06


소상공인 10명 중 7명이 최저임금을 모든 사업장에 일괄 적용하는 것을 반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소상공인연합회는 전국 17개 시·도의 1200개 소상공인 사업체를 대상으로 한 '2019년 최저임금 인상 관련 소상공인·근로자 영향 실태 조사'에서 응답자의 76.3%가 부정적으로 답했다고 밝혔다. 소상공인의 77.8%는 최저임금의 사업장 규모·업종별로 차등 적용이 필요하다는 뜻도 밝혔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방법으로는 업종별 차등 적용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80.3%로 가장 높았고, 사업체 규모별로 다르게 적용해야 한다는 응답도 70.3%에 달했다. 최저임금 차등 적용이 인건비 부담 해결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보는 소상공인은 67.0%, 보통이라는 응답과 도움 안 된다는 응답이 각각 27.8%, 5.2%였다.

지난해 전년 대비 인건비가 상승한 업체는 조사대상의 31.0%를 차지했으며, 업체별 월평균 인건비 상승액은 61만1000원으로 조사됐다.

종업원 수는 대부분 사업장(83.0%)에서 변동이 없었고, 감소한 곳(11.3%)이 증가한 곳(5.8%)보다 많았다. 감소한 종업원 수는 평균 1.15명이었다.

최저임금이 계속 상승하면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 묻는 문항에는 인력감축을 하겠다는 소상공인이 46.8%로 가장 많았다.

한편 지난해 조사대상 소상공인들의 월평균 매출액은 1861만5000원, 월평균 운영비용은 1593만8000원, 월평균 순이익은 267만7000원이었다. 2018년과 비교해 지난해 매출과 이익률이 감소한 곳은 44.8%, 50.6%에 달했고, 증가한 곳은 각각 6.2%, 4.8%에 그쳤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2020 신년운세 보러가기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