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박준규(가명
, 46세)씨는 부모님 댁에 다녀온 뒤 최근 들어서 어머니가 유난히 걷기 힘들어 한다는 것을 알게 됐다. 누워 있을 때는 괜찮다고 하는데
, 일어서거나 걸으면 엉덩이와 다리 부근에 견디기 힘들 정도의 통증이 온다고 한다. 얼마 전 병원에서 나온 진단은 '요추관 협착증'이었다.
이 질환은 비교적 큰 수술이 필요하다고 소문을 듣고 있었고 더구나 고령으로 인해 약해진 어머니에 대한 걱정이 많았던 박씨였지만
, 수소문 끝에 경기도 평택의 PMC 박병원을 찾아 허리MRI 검사 후에 고령환자에 적합한 최소침습적으로 치료가 가능하다는 진단을 내렸다. 척수신경감압술의 일종인 ULBD(후관절 보존 편측 척추후궁절제술 후 양측 신경감압술
, Unilateral Laminectomy for Bilateral Decompression) 치료가 가능하다는 것이었다.
'요추관 협착증'은 나이가 들어가면서 뼈와 인대가 덧자라서 신경을 누르는 대표적인 퇴행성 척추 질환이다. 노인 중 어느 정도 걷다 주저앉아 쉬어가는 것을 반복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이 질환으로 인한 증상일 가능성이 높다.
, 엉덩이
, 다리통증
, 보행장애 등의 복합적인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이 신경관이 더 좁아지면 요통하지의 통증
, 보행장애뿐 아니라 소변보기 ,대변보기가 힘들어질 수 있으며 오랫동안 신경이 압박되면
, 신경손상
, 후유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PMC 박병원 박진규 병원장은 "소위 '꼬부랑 할머니병'으로도 불리는데
, 일어서거나 걸으면 통증이 심해지고
, 걸음을 멈추고 앉아서 쉬거나 허리를 앞으로 숙이면 순간적으로 척추관이 약간 넓어져 통증이 줄어들기 때문에
, 오래 걷지 못하고 자주 허리를 굽히게 되기 때문"이라며 "증상이 심해지면 통증 없이 걸을 수 있는 거리가 점점 짧아지게 된다"고 설명했다.
몇 년 전부터 환자 수가 크게 늘어나고 있는데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이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 수는 164만 명으로 5년 전에 비해 약 30%가 증가했다. 평균 연령의 증가로 노화를 겪는 인구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초기 발견 시 보존적 치료를 통해 치료할 수 있지만
, 심한 협착증의 경우 수술이 유일한 치료법으로 여겨져 왔다. 하지만 환자 중 노인이 많다 보니 전신마취
, 수혈 등을 동반하는 수술에 대한 부담이 커 치료를 포기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노인은 젊은이에 대해 회복이 느리고
, 합병증 가능성도 커
,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수술적 치료는 가능하면 피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다행히도 최근에는 박씨의 아버지에게 ULBD 치료를 적용했던 사례처럼 최소침습적 치료를 택할 수 있는 경우가 늘고 있다. ULBD는 눌린 신경만을 풀어주는 방법으로
, 부분마취 뒤 내시경이나 미세현미경을 통해 양측 관절을 온전하게 보존하면서 실시하는 치료법이다.
박진규 병원장은 "ULBD 치료는 부분 마취 뒤 눌린 신경의 압력을 줄여주는 치료법으로 척추유합 수술이 불가피하다고 알려진 퇴행성 전위증을 동반한 척추관협착증 환자에게도 대부분 적용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박 병원장에 따르면 ULBD는 최소 침습적인 치료법으로 지난 2014년 대한신경외과학회에서 발표되어 학술적으로도 인정을 받았으며
, 척추 후관절을 보존하는데 우수할 뿐 아니라
, 심장질환
, 폐질환
, 골다공증 등이 동반된 고령의 환자에게도 추천된다.
박진규 병원장은 "척추관협착증 증상은 서서히 나타나기 때문에 '곧 치유 될 것'이라고 생각해 방치하다가 심해진 뒤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은데
, 방치하면 근력이 약화되고
, 감각이 둔해져 노인 낙상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치료가 늦어지면 후유증을 남길 수 있으며 예후도 좋지 않아서 초기에 병원을 찾는 것이 좋다"며 적극적으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스포츠조선 doctorkim@sportschsoun.com>
▶무료로 보는 오늘의 운세
▶한화 무더기 2군행...김태균은 빠진 이유 [크보핵인싸]
- Copyrightsⓒ 스포츠조선(/)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