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코로나19의 재확산으로 경기부양 가능성이 불투명한 가운데, 채용시장에도 빨간불이 들어왔다.
채용을 축소하거나 연기, 취소하는 부분은 '신입/경력 둘다'(64.6%)가 가장 많았다. 그 원인으로는 '코로나19로 회사 매출규모가 줄어들어서'(54.7%, 복수응답)가 가장 컸다. 이어 '인건비 부담이 가중돼서'(35.9%), '업계 전반적으로 침체기라서'(31.3%), '현재 인력으로 충분해서'(21.9%),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해서'(17.2%) 등이 있었다.
채용계획에 변동을 준 기업들은 부족한 인원을 '기존 인력의 업무 분담'(67.7%, 복수응답)으로 대체할 계획이었다. 이어 '내부 직무순환으로 인력 충원'(36.4%), '해당 업무 축소 및 통폐합 등 조직개편'(23.2%), '비정규직 인력으로 대체'(10.1%) 순이었다.
한편, 내년도 상반기 채용규모를 묻는 질문에는 '비슷하게 유지 할 예정'(45.2%)이라는 기업이 가장 많았으나, 불확실성으로 인해 '계획 미정'(25.9%), '점차 채용을 더 줄일 것'(15.2%)이라는 기업도 상당수였다. 채용을 더 늘릴 것이라는 기업은 13.7%에 불과했다.
사람인의 임민욱 팀장은 "올해 초 시작된 코로나19의 여파가 수습도 되기 전에 8월 대규모 재확산이 발생하면서 기업들의 채용계획이 더 불확실해진 측면이 있다"면서 "경기부양 정책과 함께 채용을 하고 싶어도 여건상 힘든 중소기업들을 위한 지원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전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무료로 보는 오늘의 운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