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자궁내막암의 가임력 보존을 위한 호르몬 치료가 어떤 환자에게 적합한가를 가려내는 바이오마커(생체표지자)를 찾았다.
가임력 보존을 원하는 초기 자궁내막암 환자의 경우 고용량 호르몬제 투여로 치료가 가능하며 70~80%의 높은 완치율을 보여준다.
하지만 초기 호르몬 치료에 대한 반응이 좋지 않은 경우 보통 자궁을 제거하는 수술 외에 다른 방법을 찾기 어렵다. 이는 임신을 원하는 여성에게 매우 치명적일 수 있다.
연구 결과, 약 15%의 환자에게서 '불일치 복구 결함(MMRd)'이 발견됐다. MMRd는 DNA 복제 중에 불일치 오류를 복구하는 단백질이 없거나 그 기능이 손상된 경우 발생한다.
이러한 MMRd가 있는 환자들의 경우, 호르몬 치료에 대한 반응이 확연하게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치료 시작 6개월 후 평가 시 완전관해율(종양이 완전히 사라진 환자의 비율) 11.1%, 치료 기간 중 완전관해율 44.4%), 그 가운데 일부 환자의 경우 치료 실패 후 자궁 절제술을 시행했고(44.4%), 자궁절제술을 시행한 환자 중 75%에서 치료 전과 비교해 암이 오히려 더 진행된 것으로 진단됐다.
특히, 이번 연구는 초기 자궁내막암의 가임력 보존을 위한 치료에서 특정 바이오마커를 기준으로 호르몬 치료의 효과를 처음으로 예측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에 따라 특정 바이오마커를 가임력 보존 치료에 이용하면 호르몬의 효과를 미리 예측해 치료 실패 및 시간 경과로 인한 자궁 제거 위험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이정윤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특히 MMRd가 호르몬 치료에 적합한 환자를 가려내는 예측 바이오마커라는 사실을 새롭게 알 수 있었다"면서 "앞으로 가임력 보존을 원하는 자궁내막암 환자가 호르몬 치료에 실패한 경우 바이오마커에 맞는 약제를 이용한 임상 연구를 추진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미국 산부인과학 학술지(AJOG,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에 게재됐으며,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지원을 받았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2021 신축년(辛丑年) 신년 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