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급감한 항공 여객 수요 감소로 대형 항공사(FSC)와 저비용항공사(LCC) 수익 양극화가 심해지고 있다. LCC도 FSC와 같이 화물 운송 확대 등을 통해 돌파구 모색에 나서고 있지만 화물 운송 경험 및 노하우 부족으로 격차가 더 벌어질 것으로 보인다.
23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별도 재무제표 기준 지난해 매출액 7조4050억원 중 54%에 해당하는 4조2507억원을 화물 부문에서 올렸다. 2019년 매출에서 화물이 차지하는 비중은 20%에 불과했다. 그러나 지난해 화물 운송 확대에 나섰고, 전년보다 화물 매출이 66%나 증가하게 됐다.
LCC 최초로 여객기 B777-200ER을 화물 전용기로 개조해 화물 운송에 투입시켰던 진에어는 지난주 이를 다시 여객기로 복구시켰다. 화물 운송이 기대만큼 성과를 내지 못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여진다.
좌석에 화물을 싣는 '기내 운송'을 시작한 제주항공과 티웨이항공의 화물 매출은 전년보다 감소했다. 제주항공의 화물 매출은 2018년 3분기 70억, 2019년 3분기 72억원이었지만 지난해 3분기 22억원으로 감소했다. 다만 화물 매출 비중은 0.53%에서 0.69%로 올랐다. 티웨이항공은 지난해 3분기 화물 매출이 7억4000만원으로 비중이 0.3%에 불과하다. 전년 동기 화물 매출 30억원·비중 0.4%를 기록했던 것에서 각각 감소했다.
이렇듯 LCC들은 지난해부터 화물 운송 확대 움직임을 보이고는 있지만 이렇다 할 성과는 내지 못하는 모습이다. 여객기 자체 운항이 중단되면서 벨리 카고(여객기 화물칸)를 통한 화물 운송이 크게 줄어들었기 문으로 분석된다.
LCC가 옮길 수 있는 화물은 FSC와 비교하면 턱없이 부족하다. 여객기로 운송 가능한 화물 품목이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또 화물용 컨테이너를 실을 수 없어 대형 화물 수송도 불가능하다.
기존 화물 운송 경험이 없어 물류 네트워크를 제대로 구축하지 못한 점도 LCC의 화물 사업 강화를 어렵게 하는 요인이다.
LCC업계 관계자는 "화물 부문 매출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별다른 방안이 없어 난감하다"면서 "여객 중심의 LCC 체질을 단기간에 바꿀 수 없는 만큼, 여객 수요 회복을 기다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조민정 기자 mj.cho@sportschosun.com
▶2021 신축년(辛丑年) 신년 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