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급 전기차 시장에서 패권을 잡기 위한 경쟁이 본격화 되고 있다.
국토부와 산업부의 자동차 등록 통계 등에 따르면 국내 전기차 시장은 2019년 3만5075대에서 2020년 4만6719대로 증가했다. 올해 상반기에만 4만435대로 2019년 연간 판매량을 이미 넘어섰으며, 작년 동기와 비교해도 75.4% 증가했다.
이런 가운데 올해 상반기 주요 수입차 업체의 고급 전기차 판매량은 작년 상반기(405대) 대비 254.3% 증가한 1435대를 기록했다.
아직 고급 전기차 판매 규모가 국내 전기차 시장의 3.5%에 불과하지만 최근 성장세를 고려하면 향후 전기차 시장의 '블루오션'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업계의 분석이다.
이처럼 완성차업체들이 보조금 지원을 받을 수 없는 9000만원 이상의 고급 전기차를 잇따라 내놓는 건, 관련 시장 규모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보조금은 일몰제이기 때문에 어느 한계가 지나면 보조금 유인으로 차량이 판매되지 않을 것이고 결국은 럭셔리 전기차 차종을 찾을 수 밖에 없을 것으로 전망한다.
이처럼 수입차 브랜드들이 일제히 고급 전기차 시장 공략에 나서자 국내 완성차 업체도 역습에 나섰다. 현대차의 고급차 브랜드 제네시스가 첫 전기차 모델인 G80 전동화 모델로 '럭셔리 전기차' 시장 선점에 돌입한 것.
G80 전동화 모델은 G80 내연기관 모델을 기반으로 한 전기차로, 87.2kWh의 고전압 배터리를 탑재해 1회 충전시 최대 427km를 주행할 수 있다. 350kW급 초급속 충전시 22분 이내에 배터리 용량의 10%에서 80%까지 충전이 가능하다. 최대 출력 136kW, 최대 토크 350Nm의 힘을 발휘하는 모터를 전·후륜에 각각 적용해 합산 최대 출력 272kW(약 370PS), 합산 최대 토크 700Nm(71.4kgf·m)의 성능을 발휘한다.
9일 제네시스에 따르면 지난달 7일 출시한 G80 전동화 모델의 누적 계약 대수는 약 3주 만인 지난달 말 2000대를 돌파했다. 지난달 고객 인도 물량은 35대에 그쳤으나 이는 글로벌 반도체 품귀 현상과 초기 생산 속도 안정화 차원으로, 이달부터 판매가 본격화되면 한층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제네시스는 최근 빠르게 성장하는 럭셔리 전기차 시장에 아직 뚜렷한 강자가 없다는 점에서 G80 전동화 모델이 럭셔리 전기차 시장을 본격적으로 여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여기에 정부의 친환경차 확대 정책 등에 힘입어 정부 부처의 의전용 차량이나 기업 오너·임원의 업무용 차량 등으로 고급 전기차 세단인 G80 전동화 모델의 판매가 확대될 수 있을 전망이다.
주요 수입차 브랜드들 역시 하반기 신차 출시를 예고한 상태다
국내 시장에서 수입차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는 메르세데스-벤츠는 하반기 S클래스의 전기차 버전인 '더 뉴 EQS'를 출시할 예정이다. 차 길이만 5m가 넘는 대형 세단으로 107.8㎾h 배터리를 탑재해 1회 충전 시 최대 주행거리(유럽 기준)가 770㎞에 달한다. 또 실내 전체 계기반이 하나의 와이드 스크린으로 이뤄진 'MBUX 하이퍼스크린'으로 적용된다.
BMW는 플래그십 순수 전기차 iX와 IX3를 출시한다. iX는 BMW의 준대형 SUV인 X5와 비슷한 체급이며, IX3는 중형 SUV인 X3 기반의 순수 SAV(스포츠액티비티차량)다. 두 차량의 주행거리는 유럽 기준으로 각각 600㎞. 460㎞다.
이처럼 완성차업체들이 전기차 시장에서 각자의 기술력을 내세워 성능은 물론이고 소비자 감성까지 잡기 위한 총력전에 돌입함에 따라 고급 전기차 대전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이정혁 기자 jjangga@sportschosun.com
▶재테크 잘하려면? 무료로 보는 금전 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