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체와 정신 모두가 건강한 노년 생활을 위해서는 적절한 근력과 뼈의 밀도 유지가 필수적이다.
고령자 대부분은 뼈 질량과 밀도가 감소한 상태이다. 폐경 후 여성의 경우 그 정도가 더 심하다. 또 관절의 유연성은 떨어지고 경직되며, 관절액이 감소돼 연골 마모가 심해져 관절 통증이 늘어난다. 이 같은 현상은 주로 어깨 관절 및 무릎 관절에서 흔하다. 게다가 노화에 의한 근육조직의 감소도 관절 통증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이 같은 노년의 변화는 뼈가 약해져 쉽게 골절이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고령자들은 작은 충격 또는 낮은 높이에서 떨어져도 골절이 발생해 거동이 불편해질 뿐 아니라 심한 경우는 수술이 필요한 상황이 생기기도 한다.
백종민 교수는 "근골격계 질환이 있으면 일상적인 활동뿐만 아니라 운동을 할 때 많은 통증이 유발돼 활동 자체가 제한을 받게 된다"며 "적당한 운동 및 취미생활은 노화와 동반된 질환을 예방하며 자칫 질환 발생 시 치명적인 상황에 마주할 확률을 감소시킨다"고 말했다.
▶고령자에겐 수영·산책 등 운동 좋아
운동은 고령자에게 건강한 근력과 뼈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운동은 근육, 관절 및 뼈의 퇴행성 변화를 지연시키고 방지한다. 또 뼈를 강하게 하며, 골다공증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
백 교수는 "고령자에게 추천할만한 운동으로는 물에서 하는 수영, 아쿠아로빅 등이 있다"며 "이러한 운동은 물의 부력에 의해 체중부하가 줄어 관절 및 허리 관절에 대한 무리가 감소하게 된다. 또 물을 헤치고, 휘젓고 나가는 동작이 근육 부하를 늘려 근육 발달에 효과적인 점도 있다"고 말했다.
물에서 하는 운동이 여의치 않다면, 가볍게 걷는 산책이 좋다. 이때 약간의 땀이 배어나올 정도로 해야 한다. 또 칼슘이 충분한 균형잡힌 식단의 적절한 영양섭취도 중요하다. 폐경 후 여성 및 65세 이상 남성은 하루에 1,200~1,500mg의 칼슘과 400~800IU의 비타민D를 섭취해야 한다. 만일 골다공증으로 진단된 경우 약물 및 주사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다.
▶골다공증, 고령자 건강 위협
노인성 근골격계 질환은 고령자의 건강을 위협하는 주범이다.
대표적인 근골격계 질환으로 골다공증이 있다. 여성의 약 3분의1 정도가 앓을 정도로 흔하다. 골다공증에 걸리면 뼈가 쉽게 부러진다. 골다공증으로 인해 척추, 손목, 대퇴 골절이 발생하면 거동이 어렵고 활동이 감소해, 심, 폐 기능의 합병증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또 다른 근골격계 질환으로는 근육약화가 있다. 근육약화는 피로, 허약 및 지구력 감소의 원인이 된다. 또 이로 인한 관절과 동반된 문제는 아주 흔하게 발생한다. 다양한 강도의 관절염은 근육 약화가 원인인 경우가 많다.
백 교수는 "고령자에게는 골격계의 변화뿐만 아니라 신경계(뇌, 척수)의 노화도 근육의 떨림 현상, 감각 이상, 운동 이상, 더 나아가 치매, 파킨슨 질병 등으로 인한 보행 장애, 낙상 및 심폐질환 합병증까지 다양한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재테크 잘하려면? 무료로 보는 금전 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