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경제인연합회는 미국 경영 컨설팅 기업인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이 지난 15년간 167개 사를 글로벌 혁신기업으로 선정했지만 한국 기업은 삼성전자, LG전자, 현대자동차, 기아 등 4개에 그쳤다고 6일 밝혔다.
전경련에 따르면 BCG는 2005년부터 올해까지 매년(2011년·2017년 제외) 전 세계 주요 기업 관계자 1천600명을 대상으로 두 차례 설문조사를 벌여 가장 혁신적인 기업 50개사를 선정한다.
한국의 경우 삼성전자가 매년(15회) 선정됐고 LG전자와 현대자동차가 각각 8회, 4회 이름을 올렸다. 기아도 2회를 기록했다.
전경련은 이 같은 분석을 토대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캐피털 IQ 자료를 활용해 글로벌 500대 기업과 혁신기업의 특징을 비교했다.
분석 결과 올해 혁신기업으로 선정된 50개사의 평균 자산은 500대 기업의 절반이었지만 매출과 영업이익, 고용은 각각 1.2배, 1.8배, 1.4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 기업의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아도 매출, 영업이익, 일자리 창출 등 경영성과는 우수했다는 방증이다.
혁신기업은 글로벌 매출 500대 기업보다 연구개발(R&D), 설비투자, 인수합병(M&A)도 더 활발했다. 혁신기업의 R&D 집약도(매출액 대비 R&D비)는 10%로, 500대 기업(3.5%)보다 2.9배 높았다. 전경련은 한국에서 새로운 혁신기업이 탄생할 수 있도록 R&D와 설비투자에 대한 세액공제를 늘리고 투자, M&A를 저해하는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전경련은 "올해 혁신기업 명단에 새롭게 진입한 5개 기업 중 3개 사가 바이오·제약업종인 만큼 유망 산업에 대한 집중 지원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재테크 잘하려면? 무료로 보는 금전 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