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내장은 대표적인 노인성 눈 질환이며 실명의 원인이 된다.
가장 먼저 난시다. 백내장 수술은 각막을 미세하게 절개한 뒤 혼탁해진 수정체를 제거하고 새 인공수정체로 교체한다. 이때 각막을 절개하면서 안구 모양을 유지하는 힘, 즉 각막의 인장력이 달라져 마치 럭비공처럼 찌그러지며 난시가 새로 생기거나 심해지는 경우가 있다. 수술 전 자신의 난시 여부를 정확하게 검사 받는 것은 물론, 수술 과정에서도 난시가 발생하지 않도록 난시 축과 절개 위치를 고려한 정확한 시술이 필요하다.
또한 안전성을 높이고 후유증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근엔 최소절개 단일공 수술과 생리식염수를 활용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인공 물질 대신 생리식염수를 사용하는 것도 안전성을 높인다. 일반적으로 백내장 수술 과정에서 안구모양을 동그랗게 유지하고 내피 세포를 보호하기 위해 점탄 물질을 넣는다. 하지만 수술 이후 점탄 물질이 눈 속에 남으면 안압이 높아질 수 있고 녹내장과 같은 후유증이 생길 수 있다. 물질을 넣고 빼는 과정에서 각막이 손상될 수도 있다. 그런데 생리식염수(평형염액)를 사용하면 수술 후 안압이 상승하지 않으며 환자들의 안전성도 높아진다
마지막으로 백내장 수술은 이미 노화가 진행된 눈에 하는 수술이기 때문에 안전과 정확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일부이기는 하지만, 아직 백내장 수술 시기가 아닌데도 노안을 함께 해결하려고 무리하게 다초점 인공수정체를 넣는 수술을 받으려는 분들이 있다. 불필요한 의료비 증가도 문제지만, 환자에 따라 렌즈 적응에 곤란을 겪기도 하고 난시가 생기는 등 후유증이 올 수도 있어 신중을 기해야 한다.
도움말=온누리스마일안과 김부기 원장
|
▶재테크 잘하려면? 무료로 보는 금전 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