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한의사협회(한의협)가 최근 문을 연 '코로나19 한의진료 접수센터'에 대해 대한의사협회(의협)가 날선 비판들을 쏟아냈다.
의협은 24일 발표한 보도자료를 통해 "지금은 코로나로 전 세계가 팬데믹을 겪고 있으며 연일 신규 확진자수, 위중증환자, 사망자수가 역대 최다를 기록하고 최근 오미크론 변이까지 나오는 위험한 상황"이라며 "이런 가운데 안전성과 유효성이 검증되지 않은 '비대면 한방치료'를 실시하겠다는 한의협의 행태에 아연실색하지 않을 수 없다"고 비난했다.
또한 의협은 "중국 정부는 코로나19 사태 초기부터 자국의 코로나19 환자들에게 반강제적으로 한약을 복용시키는 것은 물론, 해외에 중의사들을 진출시키고 한약을 원조하는 등 한의학 장려를 위해 부단히 애를 썼다. 그러나 이러한 중국의 행태는 내셔널 지오그래픽(National Geographic), BBC, CNN, 뉴욕 타임즈(New York Times), 과학학술지 네이처(Nature), 의학학술지 란셋(Lancet) 등으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작년 7월 코로나19에 효과가 있다고 주장하는 중국산 한약 제품을 수입해 판매한 업체들에 경고를 내리기도 했다"고 전했다.
이어 "최근 하루 사망자가 100명을 넘어선 엄중한 코로나 시국에 근거라고는 중국산 자료 일색인 탕약으로 치료하겠다는 한의협의 주장은 위험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한의협은 지난 22일 코로나19 재택치료자와 코로나 후유증 및 코로나 백신접종 후유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비대면 '한의진료접수센터'를 열었다.
한의진료접수센터는 한의협 인터넷 홈페이지와 전화 상담 등을 통해 운영되며 대상자는 코로나19 재택치료자, 감염 후 후유증을 앓는 환자 등이다.
한의협에 따르면 한의진료접수센터는 자체 개발한 플랫폼과 전화를 통해 전국에 있는 코로나19 관련 환자들의 진료의뢰를 접수하고, 적재적소의 한의원과 한방병원에 환자를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만 국내 의료기관에서 치료 시 본인 부담금이 없는 반면 한의진료접수센터 등을 통해 한의원이나 한방병원에서 별도의 치료를 받을 경우에는 진료비를 내야 한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2022 임인년 신년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