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들의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중요성에 대한 인식 수준은 높지만, 실제 ESG 경영 수준은 낮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ESG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경영성과에 긍정적 효과 발생'(42.9%), '소비자 인식 및 소비 트렌드 변화'(41.9%) 등을 꼽았다.
그러나 ESG에 대한 높은 인식 수준에 비해 실제 경영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사의 ESG 경영 수준이 '높다'는 응답은 29%(매우 높다 6%, 다소 높다 23%)였다. '보통이다'는 40.3%, '낮다'는 30.7%(조금 낮다 19%, 매우 낮다 11.7%)였다. 이를 5점 척도로 환산하면 기업들의 ESG 경영 수준은 2.9점으로 보통(3점) 이하 수준이라고 대한상의는 설명했다.
한편 기업들은 ESG 중 가장 중요한 분야로 환경(E·)이라고 답했다. 응답 기업의 60%가 환경, 23.3%가 사회(S), 16.7%가 지배구조(G)를 꼽았다. 향후 ESG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로는 37%가 '친환경 사업 분류체계'를 꼽았다. 이어 '자원순환'(28.3%), 'ESG 정보공시 의무화'(13%), '인권보호 및 다양성'(9%), '생물다양성'(6.7%), '공급망 실사'(6%) 등의 순이었다.
이미선 기자 already@sportschosun.com
▶2022 임인년 신년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