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글로벌 증시 휘청이자 올해 주요국 시총 7% 감소…한국은 47개국 중 하락률 5위

조민정 기자

기사입력 2022-02-02 10:59 | 최종수정 2022-02-02 11:20


올해 글로벌 증시가 휘청하면서 주요 47개국 증시 시가총액이 7% 가량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 이들 국가 가운데 5번째로 시가총액 하락률이 높았다.

2일 대신증권은 블룸버그 47개 주요국 증시 시가총액 집계 분석 결과 지난달 26일 기준 세계 증시 시총은 113조1526억달러로 작년 12월 31일보다 6.89% 줄었다고 밝혔다.

세계 증시 시총은 코로나19 발생 이후 2020년 3월 19일 62조2572억달러로 저점을 찍었다. 그러다 2020년 12월 31일 103조2297억달러, 2021년 12월 31일 121조5228억달러로 상승해 왔다.

하지만 올해 들어 미국의 긴축 기조에 주요 국가 증시가 타격을 받으며 글로벌 증시 시총도 줄었다.

주요 국가 중에서는 홍콩(1.66%)이 증가했고 영국(-2.00%), 일본(-5.00%), 중국(-6.05%), 독일(-7.05%), 미국(-10.14%) 등은 모두 감소했다.

한국의 경우 시가총액이 10.77% 줄어들면서 러시아(-16.09%), 스웨덴(-15.48%), 덴마크(-13.84%), 네덜란드(-13.04%)에 이어 하락률 5위를 기록했다. 다만 한국 시총에는 지난달 27일 상장한 LG에너지솔루션이 포함되지 않았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2021년 하반기부터 긴축 이슈로 인해 매력이 반감됐고, 올해 들어서는 대형 IPO(기업공개)로 인한 수급충격이 발생하면서 국내 증시가 다른 나라보다 더 많은 타격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증시 전문가들은 주요국 긴축 기조에도 불구, 올해는 완만한 성장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다른 증권업계 관계자는 "상반기 연준의 본격적인 통화정책 정상화로 시장 불확실성에 따른 증시 변동성은 있을 수 있지만, 연준의 첫 금리 인상 후 경기 회복에 대한 자신감이 나타나면서 미국 증시의 시가총액은 하반기 증가할 전망"이라면서 "하지만 코로나19 관련 재정지출 여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신흥국 시가총액은 정체 또는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조민정 기자 mj.cho@sportschosun.com


▶2022 임인년 신년운세 보러가기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