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년기 난청은 의사소통 단절로 인한 우울증, 치매까지 유발할 수 있어 적극적인 치료가 중요하다.
난청 환자에서 가장 쉽고 간단한 청각 재활 방법은 '보청기' 사용이다. 보청기의 사용으로도 말귀를 알아듣지 못하는 고도, 심도 난청의 환자는 인공와우 이식 수술을 통해 청각 재활이 가능하다. 손상된 달팽이관의 청신경을 대신하는 인공와우 기기를 이식하는 수술을 받은 뒤, 머리 바깥쪽에 외부 장치를 부착하면 완전히 청력을 잃었던 사람도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즉, 인공와우는 손상된 달팽이관(와우)으로 거의 듣지 못하는 환자에서, 소리 자극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자극을 전달하는 기기다.
그러나 만성중이염이 심한 경우에는 인공와우 이식을 하더라도 염증이 반복되며 인공와우 기기가 고장나거나, 인공와우 이식 수술 후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이전에는 만성중이염으로 인한 난청 환자는 인공와우 이식을 할 수 없는 금기였다.
이처럼 인공와우 수술은 손상된 청신경 대신 소리를 들을 수 있게 하는 인공와우 장치를 이식하는 것으로, 최근 의료보험이 적용되며, 보청기로도 들을 수 없는 고도/심도의 난청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있다.
김신혜 교수는 "난청을 그저 노화 과정이라 여기며 방치하지 말고, 이비인후과에 내원하여 난청의 원인과 정도에 맞는 적절한 청각 재활 방법을 통해 새로운 삶을 찾도록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 무료로 보는 오늘의 운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