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아동병원협회(회장 박양동)는 20일 제42회 장애인의 날을 맞아 발달지연 아동치료에 대해 국가가 전면 책임질 수 있는 법적·제도적 장치 마련을 정부 및 국회에 강력히 촉구했다.
또한 "아동의 발달장애는 치료하면 회복의 기회가 주어진다"며 "발달장애 조기 중재 시스템을 통해 의료중재를 중심으로 다학제적 전문가 시스템 구축도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어 "조기중재 및 치료 보장을 위해 경제적 불균형이 건강 불균형으로 이뤄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장애 관리 시스템 강화를 중요한 정책으로 삼아야 한다"며 "발달지연 검사와 중재치료 관련 치료에 대해 보험 당국이 급여화를 해야 된다"고 제시했다.
박양동 회장은 "정부 등은 초저출생 시대로 접어든 우리나라의 출생율을 심각히 받아 들여야 한다"면서 "발달장애 아동의 모든 의료비 본인 부담 대폭 인하, 발달장애 조기 검사 및 조기 중재치료시스템 구축, 발달장애 검사 및 치료 수가 급여화 등 30만여 명에 이르는 발달지연 아동치료를 국가책임제로 전환하는 등 저출생 정책이 뒷받침돼야 심각한 출산율을 다소나마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 무료로 보는 오늘의 운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