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의 전체 금융권 가계대출 규모는 소폭 줄었지만, 질적으로는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권 대출은 줄었지만,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제2금융권 대출과 취약 차주가 될 가능성이 있는 다중채무자는 오히려 늘어난 것.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진선미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현재 20대의 전 금융권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해 말보다 1462억원(0.2%) 줄어든 95조665억원으로 집계됐다. 가계대출 총량규제로 은행들이 대출 문턱을 높이면서 은행권 20대 대출이 이 기간 4192억원(0.6%) 줄어든 영향을 받았다.
3개 이상 기관(대부업 포함)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 수도 20대는 같은 기간 36만9000명에서 37만4000명으로 5000명 늘었다. 20대 다중채무자 대출 금액도 3월 말 현재 23조2814억원으로, 3개월 새 2289억원(1.0%) 증가했다. 반면 전 연령대 기준 다중채무자 수는 올해 들어 3월까지 5000명 줄었다. 대출금액도 3개월 새 2조5927억원(0.4%) 줄었다.
다중채무자는 취약 차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큰 만큼 소득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20대는 더 각별한 관심이 요구된다는 지적이다.
진 의원은 "코로나19로 침체한 경기가 회복도 하기 전에 금리가 급격히 올라 사회초년생인 20대 청년의 빚 부담이 과도하게 늘어나는 게 우려된다"며 "청년들의 2금융권 대출과 다중채무를 관리할 수 있는 송곳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 무료로 보는 오늘의 운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