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3∼24일 4대(KB·신한·하나·우리) 금융지주가 일제히 정기 주주총회를 개최하는 가운데, 이번 주총에서는 사외이사 대거 연임이 '뜨거운 감자'로 떠오를 전망이다.
우선 신한금융지주에서는 8명(곽수근·배훈·성재호·이용국·이윤재·진현덕·최재붕·윤재원)이 사외이사 후보로 추천됐으며 이들 모두 연임 대상이다.
하나금융지주의 상황도 비슷하다. 6명의 현 사외이사(김홍진·허윤·이정원·박동문·이강원·양동훈)가 전부 재추천됐다. 신임 사외이사 후보는 원숙연 이화여대 행정학과 교수와 이준서 동국대 경영학과 교수 단 2명뿐이다.
우리금융지주는 기존 정찬형 사외이사를 포함한 3명을 후보로 추천했다. 선임 안건이 주총을 통과하면 윤수영 전 키움자산운용 대표, 지성배 IMM인베스트먼트 대표가 새로 사외이사진에 합류하게 된다.
이처럼 국내 금융지주 사외이사들이 연임을 거듭하는 것에 대한 비판 여론도 커지고 있다.
세계 최대 의결권 자문사인 ISS(Institutional Shareholder Services)는 최근 발표한 4대 금융지주 주총 안건 관련 보고서에서 주주들에게 신한·하나·우리금융지주 연임 후보들의 선임에 반대할 것을 권고했다. 라임·DLF 사태, 채용 비리 등 각 금융지주의 대형 사고와 관련, 법적 위험이 있는 임원에 대해 집단적으로 대응하지 않고 넘어간 만큼(collective inaction) 유임 자격이 없다고 주장한 것.
신한금융 보고서에서 ISS는 "조용병 회장이 채용비리 혐의에 대해 최종 무죄판결을 받기는 했지만, 이사회가 첫 기소와 1심 유죄판결 당시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하나금융 보고서에서는 함영주 회장의 DLF 사태 관련 법률 리스크가 언급됐는데, 함 회장은 DLF 불완전 판매로 중징계(문책경고)를 받고 징계 취소 소송을 냈지만 1심에서 패소한 바 있다. ISS는 기존 사외이사들은 함 회장의 법률적 우려에도 불구, 함 회장이 계속 이사회 구성원으로 남는 데 찬성했다고 꼬집었다.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이 DLF·라임펀드 사태로 제재를 받은 사실도 문제로 거론됐다. 손 회장은 DLF 사태로 받은 '문책경고' 징계를 취소해달라는 소송을 제기해 승소했지만 라임사태와 관련해 또 '문책경고'를 받았다.
정부 역시 금융지주 이사회가 최고경영자(CEO)를 제대로 감시하지 못하고 '거수기'로 전락했다고 보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올해 주요 업무계획으로 '금융회사 지배구조 개선과 이사회 기능 제고'를 명시했고, 1분기 중 금융사 내부통제 강화를 위한 지배구조법 개정안을 입법 예고할 예정이다.
조민정 기자 mj.c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