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호석유화학그룹이 올해 경기 둔화 우려 속 사업 기반을 유지하고 안정적인 수익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11일 밝혔다.
금호석유화학은 우선 불투명한 글로벌 대외 환경 속에서 지난해 발표한 Core, Base, Growth 사업부문의 성장전략을 추진할 방침이다.
Core 사업은 SSBR(Solution Styrene Butadiene Rubber)으로 대표되는 타이어용 고형 합성고무와 라텍스 제품의 시장 지배력 강화 전략을, Base사업은 합성수지 사업의 판매지역 다변화 및 고부가 제품의 확대와 기후변화를 고려한 에너지 사업을, Growth사업은 추후 시장 확대를 앞둔 CNT의 제품 경쟁력 확보를 중점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모든 추진 활동들은 디지털 전환(DX), 신사업 개발(NBD), 인사혁신(WoW) 등을 포함해 그룹차원에서 진행중인 세부 비전 과제에 기반해 유기적으로 실행된다.
금호폴리켐은 지난해 EPDM의 준수한 수익성을 기반으로 실적 반등에 성공했으며, 지속적인 수요 증대에 대비해 2024년까지 예정된 EPDM 7만톤 증설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올해는 신규시장 진입을 위한 고 기능성 EPDM 개발에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금호리조트는 포스트 팬데믹에 따라 외부활동이 점차 활발해지는 만큼 전국 4곳의 콘도 및 지난 해 새롭게 선보인 카라반과글램핑 시설(아산 스파포레)에서 휴양객 맞이에 나선다.
금호석유화학그룹의 ESG부문은 올해 ESG 관련 지표 등 정보의 관리를 위한 정보시스템을 구축해 기업의 가치를 객관적으로 파악, 기후변화 대응을 넘어 궁극적인 지속 가능 성장의 토대를 구축하는 고민을 본격화한다.
금호석유화학은 재무적으로 안정적인 경영을 이어갈 수 있도록 철저한 대비 태세를 갖추고 경기 변동을 나타내는 지표들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원료와 제품의 수급 상황과 시장의 수요 변동폭 및 현금흐름에 따라 투자 우선순위를 면밀히 검토하고 투자 심의도 강화해 잠재 리스크 요인 최소화에 나설 계획이다.
금호석유화학은 미래의 성장을 책임질 차세대 사업 육성도 가속화한다. 전기자동차 시장의 성장과 함께 맞춤형 소재 시장 역시 각광을 받는 가운데, 금호석유화학의 합성고무부문은 내연기관 자동차 대비 높은 하중을 견뎌야 하는 전기차용타이어 제품, 합성수지부문은 차체 경량화에 기여하는 고강도 합성수지 제품, CNT사업부는 이차전지 소재로서의 CNT제품의 연구개발활동을 통해 미래 성장 가능성을 높일 예정이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