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느 날 갑자기 찾아오는 치통은 일상생활을 힘들게 한다.
또한 치아나 치아 주변에서 생긴 통증으로 느껴지지만 실제로는 치아 원인이 아닌 비치성 통증(치아의 문제가 아닌, 입술, 광대뼈, 턱관절 부위의 통증)인 경우도 있다.
치통의 원인 및 차이를 강동경희대학교 치과병원 보존과 이진규 교수의 도움말로 정리했다.
▶시린 이, 충치·치경부 마모증 등 원인
노출된 상아질을 통해 전달되는 찬 자극은 상아질에 분포된 신경을 자극해 시린 감각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치수조직 내 분포하는 신경에 의해 시린 증상을 느낄 수도 있다.
치수조직에 의해 전달되는 시린 감각은 대개 우식(충치)이나 깊은 수복물(레진, 인레이, 크라운, 브릿지, 임플란트, 틀니 등)과 같은 원인 요소가 존재하기 때문에, 비교적 구분이 쉽다.
치아와 잇몸 사이의 치경부가 심하게 파인 경우를 치경부 마모증이라 하는데, 이런 치경부 마모증에 의한 상아질 노출 등으로 시린 증상을 호소할 수도 있다.
교합(입을 다물 때 아래위 턱의 이가 접촉)으로 인해 과도한 힘이 치아에 가해지는 경우 또는 금(크랙) 등으로 인한 치수염의 경우에도 시린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세심한 문진을 통해 원인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이진규 교수는 "단순히 시린 증상만으로는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가 어렵기 때문에 환자와 치과의사 간 세부적인 문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씹을 때 통증, 교합·저작압·치아 금 등 의심
'씹을 때 아프다'라는 증상을 호소한다면 치아 내부 치수 조직 염증이 치아 뿌리 주변으로의 확산으로 인한 것인지 교합이나 저작압(윗니와 아랫니가 서로 맞물려 있을 때의 압력)의 문제인지 등을 감별해야 한다.
치아에 금이 있거나 치아 뿌리에 금이 있는 경우도 이 같은 증상을 호소할 수 있다. 환자는 종종 자신의 증상을 잘 설명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경우 치과의사의 진단 소견과 불일치가 생길 수도 있다.
▶가만히 있어도 아프다면, 치아 내부와 주변 조직 유래 감별
'가만히 있어도 아프다'라고 말하는 경우는 치아에서 유래된 것이 아닌, 입술·광대뼈·턱관절 부위의 통증 등 비치성 통증의 가능성을 염두에 둔다.
반대로 치성통증이라고 판단되는 경우라도 치아 내부 치수조직 기원인지 아니면 치아 주변 조직에서 기원한 통증인지를 감별해야 한다.
이진규 교수는 "치통의 원인에 대한 진단은 치과의사와 함께 신중하게 파악하길 권유한다. 환자가 통증을 느끼면서 '아프다'라는 표현만으로는 정확한 원인과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고 전했다.
이를 위해 치과의사는 신중하고 철저한 문진이 필요하고, 이를 통해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얻어야 한다.
이진규 교수는 "치과 내원 환자들은 본인의 불편감에 대해 세밀히 관찰하고 이를 진단 과정에서 충분히 설명하는 것이 치료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 전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