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폐경이란 '월경이 중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등이 감소하게 되는데, 폐경은 호르몬 변화, 정신 심리학적인 변화와 함께 생리적인 육체적 변화들을 경험하는 시기이며, 그 중 하나가 수면장애이다.
특히 폐경기에 접어든 여성의 경우, 수면무호흡증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수면무호흡증은 심하게 코를 골 자주 호흡이 끊기게 되는 증상을 말한다. 이는 자는 동안 체내에 산소 공급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못해 뇌로 가는 산소도 부족한 현상도 유발해 뇌혈관 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수면무호흡증 증상으로 인해 깊은 숙면에 취하기 어렵다. 때문에 만성 피로나 일상생활에도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뇌혈관에도 문제를 일으켜 치매나 뇌졸중 등의 발생 위험도도 높아질 수 있다.
수면무호흡증이 의심된다면 수면다원검사를 실시해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좋다. 이후 검사 결과에 따라 보존적 치료법과 양압기 치료를 처방하게 되는데, 보존적 치료법은 체중 감량이나 행동 교정 혹은 약물치료를 통해 증상을 완화시키고 양압기 처방은 기도가 좁아지지 않도록 일정한 압력의 바람을 넣어 협착이 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이민영 과장은 "폐경은 모든 여성들에게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이로 인해 발생하는 여러 질환이나 증상 때문에 고생하는 여성 환자들이 많다"며 "수면 장애를 비롯해 다양한 증상을 시간의 흐름으로 간과하기 보다는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통해 정상적인 생활을 하길 바란다"고 조언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