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가 지속하면서 화장품 소비의 양극화가 나타나고 있다. 주머니 사정이 넉넉지 않은 소비자들은 샘플을 묶어 판매하는 중고 거래나 소용량 제품을 이용하는 반면 백화점에서는 고가의 명품 화장품 매출이 10~20% 신장하고 있다.
25일 유통·화장품 업계에 따르면 올해 들어 10월까지 균일가 제품만 판매하는 다이소 기초화장품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0%, 색조화장품 매출은 130% 각각 늘었다. 다이소의 3000원짜리 손앤박 '아티 스프레드 컬러 밤'은 6만원대 샤넬 립앤치크밤과 비슷하다는 입소문을 타며 한때 품절 사태를 일으키기도 했다. 저가 제품이 인기를 끌자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등 국내 대표 화장품 대기업도 잇달아 균일가 시장에 뛰어들어 다이소에 5000원 이하 제품을 납품하고 있는 상황이다.
고가 화장품도 수요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올해 10월까지 롯데백화점 화장품 매출은 지난해 동기보다 10% 늘었다. 이중 명품 브랜드가 많이 포함되는 색조화장품 매출만 보면 증가율이 25%에 이른다.
이 기간 신세계백화점의 명품 화장품 매출은 16.1% 증가했으며 올해(1∼9월) 현대백화점의 명품 화장품 매출 신장률은 13.1%를 기록했다.
이런 명품 화장품 매출 수요의 증가를 의식하기라도한 듯 올해 하반기에는 프라다뷰티가 국내에 상륙했다.
일반 화장품 업체들도 주름 개선, 미백 등 기능을 더한 고가라인 추가 출시에 나섰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의 자체 화장품 브랜드 연작은 지난 4월 고가 피부관리 라인 알파낙스를 백화점 오프라인 매장 단독 상품으로 출시했다.
이밖에 쿠팡은 에스티로더, 르네휘테르 등 고급 화장품 전용 로켓배송 서비스인 '알럭스'를 지난달 선보였다.
강우진 기자 kwj1222@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