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천=연합뉴스) 윤관식 기자 = 한국도로공사는 야생동물의 활동량이 늘어나는 5∼6월 고속도로 운전 시 동물찻길사고(로드킬)에 주의해야 한다고 28일 밝혔다.
월별로는 5∼6월에 1천967건(37.1%)으로 가장 많았고, 하루 중에는 자정∼오전 8시에 2천351건(44.4%)으로 가장 많았다.
동물찻길사고를 당하는 야생동물은 고라니(4천426건·83.5%), 너구리(343건·6.5%), 멧돼지(277건·5.2%) 순이다.
고라니 관련 사고가 많은 이유는 상위 포식동물 부재로 개체수가 많고, 봄이 되면 먹이활동 및 새끼 양육을 위한 움직임이 활발하기 때문이라고 공사는 설명했다.
운전자는 차량 운행 중 야생동물을 발견하면 핸들 및 브레이크 급조작을 삼가고, 경적을 울리며 통과해 야생동물과 주변 운전자에게 음향으로 경고하는 것이 좋다.
야간 상향등은 동물의 돌발행동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동물과 충돌한 경우 뒤에 오는 차량과 2차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비상등을 켜고 트렁크를 열어 사고 차량임을 알려야 한다. 가드레일 밖 등 안전한 장소로 대피한 뒤 한국도로공사 콜센터로 신고하면 안전하게 사고를 수습할 수 있다.
도로공사는 동물찻길사고를 줄이기 위해 매년 50km의 유도 울타리를 설치하고 있다. 현재 전국 고속도로에는 총 3천123km의 유도 울타리가 설치됐다.
전국 생태통로에는 인공지능(AI)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해 24시간 야생동물 이동 모니터링을 한다.
또 생태환경 복원과 야생동식물 서식지 마련을 위해 생태 축 복원 사업 등도 추진하고 있다.
이런 노력으로 동물찻길사고는 2015년 2천545건 이후 매년 감소해 지난해에는 783건으로 69% 이상 줄었다.
한국도로공사 관계자는 "고속도로 이용객의 안전과 야생동물 보호를 위해 예방시설 설치와 생태복원 사업 등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psik@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