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도체 연장근로 문제에…"'일년상·삼년상 옳나'가 백성 삶과 무슨 상관인가"
이 후보는 이날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국노총과의 정책협약식에서 "앞으로는 말도 안 되는 분열과 대결의 언어를 버리고 진정한 통합의 길로 나아가도록 노력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후보는 "노동자들이 잘돼야 기업이 잘되고 기업이 잘돼야 노동자들의 삶이 좋아진다"며 "필요할 때는 협력하고 싸우기도 하지만 우리가 상대를 없애자고 싸우는 것은 아니지 않나"라고 했다.
그러면서 "정치는 중간에서 양자를 포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선후보 확정을 전후해 통합의 가치를 앞세우는 가운데 집권할 경우 노사 간 통합에도 공을 들이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이 후보는 "제가 노동자를 만나면 '반기업'이라 하고, 기업인을 만나면 '우클릭, 심하게는 '쇼'라고 하는데 기업 없이 경제가 살 수 있고 노동 없는 기업이 있을 수 있나"라고 말하기도 했다.
이 후보는 노사 간 대립의 사례로 반도체 특별법의 핵심 쟁점인 '주 52시간 근로제한 예외' 문제를 들었다. 이 후보는 이 문제의 조율을 위해 노사 양측을 만난 데 이어 지난 2월에는 여야정 국정협의회에서 이를 논의한 바 있다.
정부는 지난 3월 반도체 연구개발로 특별연장근로를 신청할 때 1회 최대 인가 기간을 현행 3개월 외에 6개월도 선택할 수 있게 했다.
이 후보는 "정부의 요구는 (특별연장근로 신청 시 최대 인가 기간을) 6개월로 늘리는 데 욕을 먹으니 '반도체 업계의 특성을 고려해 노동 행정을 한다'는 문구만 넣어달라는 것이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노동계에 '명목상 그 조항을 넣으면 안 되겠나' 물었더니 '필요 없는 걸 왜 넣느냐' 했는데 그 말도 맞고, '필요 없으니 넣어줘도 되지 않나' 하는 (반대 논리의) 말도 맞는다"며 "제가 양쪽을 조정하다 포기했다"고 말했다.
이를 예송논쟁에 비유한 이 후보는 "반도체 지원 특별법이 그것 때문에 아직 처리되지 않았는데 대체 왜 이러나"라며 "'일년상이 옳으냐, 삼년상이 옳으냐'가 백성의 삶과 무슨 상관인가"라고 되물었다.
그러면서 "앞으로 노동계와 기업, 자본가가 대화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노조 활동과 관련, "중소기업이든 계열화한 기업이든 이들 기업(노조)끼리도 단결권을 줘야 한다"며 "앞으로 한노총 조합원 300만 시대를 열기 바란다"고 했다.
한편, 이 후보는 이날 이뤄진 정책협약과 관련해 "(정책협약에 담긴) 주요 정책 과제는 한노총이 요구하는 과제는 최선을 다해 함께 이행하도록 노력하겠다는 것"이라며 "민주당의 정책 공약으로 이해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kjpark@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