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30년·20갑년 이상 흡연, 소세포폐암 위험 54배 높아…유전적 요인은 낮아"

장종호 기자

translation

기사입력 2025-05-18 13:15


"30년·20갑년 이상 흡연, 소세포폐암 위험 54배 높아…유전적 요인은…
자료사진 출처=픽사베이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30년·20갑년(하루 한 갑×20년) 이상 담배를 피운 사람은 비흡연자보다 폐암의 일종인 소세포폐암 발생 위험이 약 54배 높고, 소세포폐암 발생에 흡연이 미치는 영향은 무려 98%에 달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연구원과 연세대 보건대학원 공동 연구팀은 2004~2013년 전국 18개 민간 검진센터 수검자 13만 6965명의 건강검진 및 유전위험점수(PRS) 자료, 암 등록자료, 건강보험 자격 자료를 2020년까지 추적 관찰했다. PRS는 유전 변이와 그 유전적 효과를 이용해 계산된 개인 질환에 대한 유전적 위험도를 뜻한다.

그 결과, 성별이나 연령, 음주 여부 등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이나 폐암·후두암의 유전위험점수가 같을 때 '30년 이상, 20갑년 이상' 흡연자의 경우 비흡연자보다 소세포폐암은 54.49배, 편평세포폐암은 21.37배, 편평세포후두암은 8.30배 발생 위험이 컸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흡연력이 동일하다는 조건 아래서는 유전위험점수가 낮을 때보다 높은 경우(유전위험점수 상위 20%) 전체 폐암과 편평세포폐암에만 각각 1.20~1.26배, 1.53~1.83배 발암 위험이 높아졌다.

이는 유전적 요인보다는 흡연 기간이 암 발병에 더 크게 기여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건보공단은 "국내 최초로 유전 정보를 활용해 폐암과 후두암 발생에 유전 요인의 영향이 없거나 극히 미미함을 밝힌 것"이라며 "흡연의 유해성을 재입증했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폐암, 후두암 발생 기여 위험도(노출군의 질병 발생률 중 위험 요인이 기여하는 정도) 분석에서는 '30년 이상, 20갑년 이상' 흡연자인 경우 소세포폐암 발생에 흡연이 기여하는 정도가 98.2%를 차지했다. 유전 요인의 영향은 극히 적었다. 편평세포후두암과 편평세포폐암에 대한 흡연의 기여도 역시 각각 88.0%, 86.2%로 높았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