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한림대학교강남성심병원 정형외과 김중일 교수팀이 '경골 후방경사각' 이라는 개인별 무릎 특성을 정확히 재현한 후방십자인대 보존형 로봇인공관절수술이 환자 만족도와 기능 회복에 차이를 가져온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기존 인공관절수술에서는 후방십자인대를 제거하고 수술 후 환자의 다리가 일자형이 되도록 하는 방식이 일반적이었다. 이 방법은 인공관절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으나, 환자 고유의 무릎 움직임을 변화시키고, 다리 구조·모양에 맞게 형성되어 있던 힘줄과 근육 등 연부조직이 새로운 다리 형태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환자들이 이질감과 불편함을 느낄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김중일 교수팀은 후방십자인대를 보존하고, 환자 개개인에 최적화된 다리 모양을 찾아주는 수술법 '환자 맞춤 보존형 로봇인공관절수술'을 연구했다.
경골 후방경사각은 무릎 아래뼈(경골)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관절면이 뒤로 얼마나 기울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각도로, 개인마다 고유한 차이를 보인다. 이 각도는 후방십자인대의 기능은 물론, 무릎의 안정성과 관절의 운동역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
연구팀은 환자들의 예후를 △슬관절기능지수(Knee Society Function Score) △망각관절지수(Forgotten Joint Score) △골관절염지수(WOMAC, Western Ontario and McMaster Universities Arthritis Index) 중심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환자 고유의 경골 후방경사각 변화를 4도 미만으로 유지한 그룹과 4도 이상 변화된 그룹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됐다. 환자 고유의 경골 후방경사각을 수술 후에도 재현한 그룹에서 계단을 오르내리거나 보행 시 본인의 무릎처럼 더 편안하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로봇을 활용해 환자고유의 해부학적 특성을 정밀하게 반영한 결과로 분석된다.
김중일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수술 전 환자 고유의 경골 후방경사각을 확인하고 이를 수술에 반영하는 것이 예후 개선에 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입증한 것"이라며 "기존 인공관절 수술에 만족하지 못했던 환자들의 빠른 회복과 보행 만족도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어 김 교수는 "최근 인공관절 수술의 화두는 '개인화(Personalization)'에 있다"며 "모든 환자에게 똑같은 방식의 수술이 아닌, 환자 개개인의 해부학적 구조를 정밀 분석해 그 환자에게 가장 적합한 정렬을 구현해주는 것이 진정한 치료"라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최근 유럽 스포츠의학회 공식학술지 'KSSTA(Knee Surgery Sports Traumatology Arthroscopy)'에 게재됐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