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신장 하나 기증 후 남은 신장 기능 예측 AI 모델 개발"

김소형 기자

translation

기사입력 2025-05-20 20:58


"신장 하나 기증 후 남은 신장 기능 예측 AI 모델 개발"
이미지=픽사베이

신장을 하나 기증하면 6주 후에는 일상 생활이 가능하고, 1년 후에는 신장 기능의 척도로 활용되는 사구체여과율(GFR)이 상당 부분 회복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기증자의 남은 신장 기능에 대한 우려는 여전한 상황이다.

최근 생체 신장 기증 후 남은 신장의 기능을 예측하는 인공지능(AI) 모델이 개발돼 이같은 우려를 덜어줄 전망이다.

장혜련·전준석 삼성서울병원 신장내과 교수와 차원철 응급의학과 교수 연구팀이 신장 이식 후 기증자의 신장 기능 예측 알고리즘을 개발해 최근 국내 특허를 출원했다.

삼성서울병원에 따르면, 이 알고리즘은 기증자의 나이와 성별, 키, 체질량지수(BMI)와 사구체여과율, 혈청 크레아티닌 수치 등 기증 전 필수검사 결과를 입력하면 기증 후 남는 단일 신장의 사구체여과율을 예측해주는 방식이다.

국내 생체 신장 기증은 2023년 기준 1257건으로, 95%가 가족 안에서 이뤄진 만큼 기증 후 공여자의 신장이 제 기능을 할지가 중요한 고려사항이다. 연구팀은 2009∼2020년 삼성서울병원에서 신장을 기증한 823명의 기증 전후 사구체여과율을 바탕으로 여러 AI 모델을 비교해 오차가 가장 낮은 모델을 채택했다. 해당 프로그램은 별도 앱이나 장치 없이 검사 결과를 웹 기반 문항에 입력 시 기증 후의 사구체 여과율을 곧바로 예측할 수 있도록 했다.

장혜련 교수는 "신장 기증은 그 자체로 특정 질환의 발생 위험을 증가시키거나 기대여명에 부정적 영향을 주지 않음에도 여전히 기증에 대한 걱정이 크다"며 "올바른 정보를 전달하고 불필요한 걱정을 덜게 끊임없이 더 나은 방법을 찾을 것"이라고 전했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