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장을 하나 기증하면 6주 후에는 일상 생활이 가능하고, 1년 후에는 신장 기능의 척도로 활용되는 사구체여과율(GFR)이 상당 부분 회복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기증자의 남은 신장 기능에 대한 우려는 여전한 상황이다.
삼성서울병원에 따르면, 이 알고리즘은 기증자의 나이와 성별, 키, 체질량지수(BMI)와 사구체여과율, 혈청 크레아티닌 수치 등 기증 전 필수검사 결과를 입력하면 기증 후 남는 단일 신장의 사구체여과율을 예측해주는 방식이다.
국내 생체 신장 기증은 2023년 기준 1257건으로, 95%가 가족 안에서 이뤄진 만큼 기증 후 공여자의 신장이 제 기능을 할지가 중요한 고려사항이다. 연구팀은 2009∼2020년 삼성서울병원에서 신장을 기증한 823명의 기증 전후 사구체여과율을 바탕으로 여러 AI 모델을 비교해 오차가 가장 낮은 모델을 채택했다. 해당 프로그램은 별도 앱이나 장치 없이 검사 결과를 웹 기반 문항에 입력 시 기증 후의 사구체 여과율을 곧바로 예측할 수 있도록 했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