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카카오, 남양주에 디지털 허브 조성…2029년 제2데이터센터 준공

기사입력 2025-06-13 12:57

(서울=연합뉴스) 13일 경기도청에서 열린 디지털 허브 조성을 위한 투자유치 업무협약식에서 (왼쪽부터) 주광덕 남양주시장, 김동연 경기도지사, 정신아 카카오 대표이사, 이한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5.6.13 [카카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왕숙 도시첨단산업단지에 6천억원 투자

(서울=연합뉴스) 김현수 기자 = 카카오가 경기 안산에 이어 남양주에 두 번째 자체 데이터센터를 구축한다.

카카오는 13일 경기도청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 주광덕 남양주시장, 이한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 정신아 카카오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디지털 허브'(가칭) 조성을 위한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에 따라 카카오는 경기 남양주 왕숙 도시첨단산업단지에 약 6천억원을 투자해 연면적 약 9만2천㎡ 규모의 디지털 허브를 구축할 계획이다.

카카오는 건축 인허가 등 행정 절차를 거쳐 2026년 착공, 2029년 준공을 목표로 한다고 전했다.

카카오는 인공지능(AI) 대중화 시대를 대비하고, 전 국민의 생활과 밀접한 카카오 서비스의 운영 안정성을 확보하고자 디지털 허브 설립을 추진한다고 설명했다.

디지털 허브는 AI와 미래 기술을 위한 고집적 서버 수용이 가능한 AI 데이터센터로 조성되며, 신재생 에너지 사용 외에도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친환경 데이터센터로 구축한다.

2022년 SK C&C(현 SK AX)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로 카카오톡 등 주요 서비스가 중단되는 사태를 겪은 카카오는 줄곧 제2데이터센터 부지를 물색해왔다.

데이터센터에 문제가 생길 경우, 다른 데이터센터를 통해 서비스를 중단 없이 이어가기 위한 이중화 필요성 및 한층 고도화하는 AI 서비스 수요에 대응해야 할 필요성이 커진 점도 카카오의 이런 움직임을 가속화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앞서, 카카오는 서울대 시흥캠퍼스에 제2데이터센터 설립을 추진했으나, 양자 협의 과정에서 진행하지 않는 것으로 최종 결정된 바 있다.

한편, 카카오는 해당 지역 인력·자원을 우선 활용하고, 지역 상생 기금을 조성해 소상공인 대상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는 등 지역경제 활성화 및 상생 모델을 도모할 방침이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AI 대중화 시대를 맞아 모든 국민이 일상에서 쉽고 편리하게 AI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카카오의 목표"라며 "카카오 디지털 허브는 AI 대중화를 위한 핵심 인프라로 구축할 예정이며, 남양주 지역 발전 및 상생을 위한 협력도 지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주광덕 남양주시 시장은 "이번 카카오의 대규모 투자 유치를 통해 지난 1월 발표한 남양주 산업 생태계 대전환이라는 거대한 프로젝트를 본격화할 수 있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왕숙 도시첨단산업단지를 선택한 카카오의 결정이 최대한의 성과로 돌아올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hyunsu@yna.co.kr

<연합뉴스>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