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해외시승] 오프로드도 문제 없는 장거리 투어러..혼다 아프리카 트윈

카가이 기자

translation

기사입력 2025-07-02 09:38

사진제공 : 카가이(www.carguy.kr)

검증된 투어러인 혼다 아프리카 트윈을 타고 오프로드 주행을 시작했다. 사이클월드 콘텐츠팀은 봄이 오면서 혼다 NT1100 기자 회견을 위해 남부 캘리포니아까지 왕복 약 4000km를 아프리카 트윈을 타고 달렸고, 비포장도로를 따라 오프로드를 탐험하는 등 정말 많은 거리를 달렸다.

하루 8시간씩 직접 타는 것보다 오토바이의 작동 방식을 더 잘 알 수 있는 것은 없다. 오토바이에 대해 배우는 것뿐만 아니라 장거리 여행에 어떤 기능을 더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지도 알아낼 수 있다.

아프리카 트윈은 본격적인 투어러는 아니지만장착된몇 가지 액세서리 덕분에 최근 남부 캘리포니아에서 콜로라도까지 왕복하는 여정에 딱 맞는 오토바이로 선택됐다.

더블테이크최신 어드벤처 미러, 던롭 트레일 맥스 타이어 외에도 탑 케이스를 장착할 수 있는 리어 테일 랙을 볼트로 고정했다. 오프로드 중심인 콜로라도 BDR 코스를 주행하고 랠리에 참가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에 맞춰 핸드가드, 크래시바 설치 등 몇 가지 보호 장비가 더 필요하다. 현재 장착되어 있는 던롭 타이어 대신 더욱 공격적인 타이어를 장착해야 한다.

약 5000km 동안 달려온 던롭 트레일 맥스 타이어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캘리포니아까지 약 4000km를 견뎌냈을 뿐만 아니라, 고속도로 주행에서도 리어 패턴이 거의 꺾이지 않았다.


지금까지 이 타이어는 흙길에서 예측 가능한 성능을 보여주며, 단단한 노면, 자갈길, 돌멩이가 흩뿌려진 트레일에서 뛰어난 제동력과 측면 접지력을 제공했다.

하지만 이 타이어의 가장 인상적인 점은 아스팔트에서의 놀라운 성능이다.순정 미쉐린 아나키 어드벤처와 비교했을 때, 온로드 접지력이 눈에 띄게 향상되었다.이 타이어는 예측 가능한 턴인을 제공하는 동시에, 기울어졌을 때 탁월한 접지력을 제공한다.

오프로드에서 타이어 공기압은끊임없이 조절해야 한다.장거리 온로드 주행 시에는 던롭에서 권장하는 앞 39psi, 뒤 36psi 설정을 고수했다.비포장도로 주행 시에는 25psi까지 낮췄다. 이는 접지력과 사각 지대에서 휠이 손상되지 않는 최적의 절충안이다.


흥미로운 점은 비포장도로 주행 시 공기압을 낮춘 후, 다시 아스팔트 도로를 주행했을 때에도 타이어의 성능이 매우 뛰어났다.지금까지 이 타이어는 오프로드 주행 시 어떠한 타협도 없이 원하는 접지력의 90%를 제공해 왔다.

SW-Motech 캐리어를 몇 달 동안 여행에서사용해 본 결과, 정말 만족스러웠다.캠핀 부착 시스템으로 탈부착이 정말 간편했다.폭우 속에서 호텔에 도착했을 때 버튼 하나로 몇 초 만에 캐리어를 꺼낼 수 있다는 점은 큰 장점이다.


남부 캘리포니아 여행을 위해 옷, 여분의 라이딩 장비, 그리고 플러그 키트, 공구, 타이어 공기 주입기 같은 필수품을 싣고 다녔다.방수 롤탑 디자인으로 쉽게 넣고 뺄 수 있다.


조절 가능한 스트랩 덕분에 짐이 가득 찼을 때 쉽게 조일 수 있다.여러 차례소나기와 약간의 눈 속에서도 내용물은 완벽하게 건조하게 유지됐다.

짐을 매우 쉽게 꾸릴 수 있는 점은벨크로 분리대 덕분이다. 조절 가능한 탈착식 가방으로내용물을 위한 완충 기능도 제공한다.아프리카 트윈의 성능은콜로라도해발 2280m 홈베이스와 남부 캘리포니아 사이에서 출력에 큰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가장 큰 차이점은 록키 산맥의 짧은 직선 코스에서 차를 추월해야 하는 경우 다운시프트를 한 두 번 하는 것이 좋다. 추월은 6단 기어로 할 수 있다.


표준 변속기 모델에서는 1단 기어가 너무 짧고 2단 기어가 약간 너무 높다.특히 고산 도로의 바위와 틀어진 길을 달릴 때 더욱 그렇다.이로 인해 라인에만 집중하고 싶을 때 기어를 바꿔야 해서 조작이 번거롭다.

라이더 인터페이스는좋은 점과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두 가지가 양분된다.왼쪽 컨트롤 포드의 버튼에 익숙해지면 즉시 모드를 변경하는 것과 같은 기본 기능에 매우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또한 트립 미터, 연료 범위 등 정보를 스크롤하는 것도 직관적이다.디스플레이 보기 옵션과 같은 더 숨겨진 기능에 접근하는 데는 어려움을 겪었다.하지만 사용 설명서를 조금 더 파고들자 모든 것을 이해하게 되었다.


개인적으로는 다른 두 옵션인 실버와 브론즈보다 골드 디스플레이 모드를 선호한다.골드 옵션은 가장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 트립미터와 TC 및 윌리 제어를 즉시 변경하는 옵션도 표시해 준다.

따라서 오프로드와 그래블에 사용되는 더 단순한 기본값 대신 모든 모드에서 기본값을 골드로 변경했다. 시스템에서 가장 불편한 점은 아마도 애플 카플레이 기능 사용이다.이 과정을 번거롭게 만드는 몇 가지 요구 사항을 가지고 있다.

가장 분명한 것은 카플레이나 안드로이드 오토를 사용하려면 헬멧 통신 장치가 필요했다.헬멧 충전을 잊으면 카플레이가 연결되지 않는다. 여행 전에 이 점을 고려해야 한다. 아직 완전히 직관적이지는 않은 메뉴 탐색 로직이 있지만, 연습을 통해 불편함은 줄어들었다.


모든 것이 제대로 작동할 때, 특히 장거리 여행 시 내비게이션, 음악, 그리고 휴대폰을 손끝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장점이다.전반적으로 아프리카 트윈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서는 크게 불평할 부분이 없다.

이 오토바이는 이 가격대대부분의 오토바이에서는 제공하지 않는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있다.CB1000 호넷 SP 처럼 최신 장비를 조작해 보면 아프리카 트윈의 인터페이스가 시대에 뒤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매일 타면서 몇 가지 언급할 만한 점이 있다.바로 윈드스크린을 즉석에서 조정하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두 손으로 조정해야 하는 핀치 클램프가 한 쌍으로 설계됐다.정차 후 직접 조정해야 한다.

크루즈 컨트롤은 라이더 인터페이스에서 매우 사용하기 쉬운 부분이다.시스템을 활성화하면 속도를 설정하고 변경한 후 다시 원래 설정으로 돌아오는 과정이 간단하다.스로틀을 돌려 크루즈 기능을 해제하는 방식은 브레이크를 밟는 방식(다른 방법)보다 훨씬 더 편리하다.

또 다른 불만은 USB 포트가 구형 USB-A 연결 방식만 지원한다는 것이다.따라서 안드로이드나 최신 아이폰을 사용하는 경우 충전 및 연결을 위한 전용 코드가 필요하다. 게다가 오프로드 주행 시 USB 코드가 덜컹거리며 느슨해져 카플레이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라이딩 스타일에 따라 두 가지 위치로 조절 가능한 시트는 편리하다. 장거리 고속도로 주행 시에는 시트를 높게 하면 다리를 뻗을 공간이 조금 더 넓어진다.하지만 오프로드나 도심 주행 시에는 시트를 낮게 하면 발 디딜 곳을 더 쉽게 사용할 수 있다.시트를 분리한 후 몇 초만에 조작이 가능하다.

시트를 위아래 슬롯에 밀어 넣어 조절하면 된다. 다음 일정은 새 핸들바, 핸드가드, 엔듀로 풋페그를 설치하는 것이다.엔진 오일 교환 시기는 약 1만 2000km다.



송문철 에디터 mc.song@carguy.kr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