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회전근개파열은 어깨를 감싸는 힘줄이 손상되는 질환으로, 노화로 인한 퇴행성 변화와 반복적인 어깨 사용이 주요 원인이다. 기존에는 중장년층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최근에는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사람이 증가함에 따라 전 연령대에서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
회전근개파열의 증상은 오십견, 석회화건염, 목 디스크 등과 비슷해 쉽게 혼동될 수 있다. 모두 심한 어깨 통증을 유발할 수 있지만, 각 질환마다 증상의 양상이 다르다. 오십견은 수동적 운동 범위 제한이 심한 것이 특징이고, 목 디스크는 어깨를 넘어 팔 아래까지 이어지는 방사통이 동반된다.
반면, 회전근개파열은 팔을 들어 올리거나 돌릴 때 통증이 심하고, 근력 저하가 함께 나타날 수 있다. 이처럼 어깨 통증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어 정확한 감별 진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만약 어깨 통증이 2주 이상 지속된다면 단순 근육통이나 염좌로 여기지 말고 정형외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술 후에는 어깨 보조기 착용과 재활운동 등 체계적인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어깨 관절의 경직이나 재손상을 예방하려면 장기적인 재활과 꾸준한 운동 습관이 필수적이다.
회전근개파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예방과 조기 진단이다. 평소 어깨 스트레칭과 회전근개 강화 운동을 꾸준히 하고, 무거운 물건을 들 때는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어깨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직업군이나 스포츠를 즐기는 사람은 어깨 과사용을 피하고, 통증이 느껴질 경우에는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정형외과 이진혁 교수는 "어깨 통증이 2주 이상 지속된다면 방치하지 말고 정형외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며 "평소 자신에게 맞는 강도의 스트레칭과 근력 운동으로 어깨 건강을 지키는 습관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