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최근 서울의 한 김밥 가맹점에서 김밥을 먹은 시민 130여 명이 고열과 복통 등 집단 식중독 증세로 병원 치료를 받았다. 현재 관할 보건 소 및 보건당국이 원인 조사를 진행 중이다.
장마철 습도가 높고 낮 최고기온이 35℃ 이상 지속되는 기간에는 우리가 섭취하는 음식도 변질되기 쉽고 세균 번식도 활발해지면서 식중독에 의한 장염 발생률이 증가한다.
양무열 전문의는 "장염은 세균, 바이러스, 기생충 등에 의해 장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복통과 설사, 구토, 발열 등 증상이 4~7일 정도 지속되며 면역력이 약한 고령자와 유아는 패혈증과 장관 외 감염으로 악화되어 위험해질 수도 있다"고 전했다.
항생제는 제한적으로 사용하는데 대부분 자연 회복이 되지만 고열이 계속되면서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 면역저하자, 고령과 영유아는 의사 판단에 따라 항생제를 투약하게 된다.
여름철 장염 예방을 위해서는 손 위생(손씻기, 손소독제)은 기본이며, 개인 식기 사용을 권장한다. 음식은 반드시 익혀서 섭취하고 달걀과 고기류는 내부까지 완전히 익혀 먹어야 한다. 반숙 계란과 생고기는 여름에는 피하는 게 좋다.
칼과 도마는 생고기용, 채소용으로 분리 사용해 식재료를 철저히 구분해야 한다. 살모넬라균은 오염된 달걀과 같은 가금류나 복합 조리식품이 원인으로 달걀 보관은 구입 후 바로 냉장 보관하고, 금이 간 달걀은 사용하지 않는다. 마요네즈와 생크림은 실온에 오래 방치하지 않도록 주의하며, 물은 끊여 마시거나 안전한 생수를 사용하며 얼음 보관 관리도 중요하다.
양무열 전문의는 "특히 단체 급식소와 어린이집에서 운영하는 식당은 철저한 위생관리가 필요한데 이번 김밥집 집단 식중독 사태처럼 단체 식중독 사고의 상당수가 살모넬라 균과 관련 있어서 조리와 식재료 보관에 철저한 점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