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외 사례는 구조 개편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영국은 문화·미디어 정책을 디지털문화미디어체육부(DCMS)에서 일괄적으로 수립하고, 규제는 정치적으로 독립된 오프컴(Ofcom)이 맡는다. 프랑스도 문화부는 정책, 아르컴(ARCOM)은 규제를 담당한다. 독일은 방송에 관한 연방정부 개입을 최소화하고, 주정부와 시민사회가 참여하는 방송평의회를 통해 공영방송의 독립성을 제도적으로 보장한다. 다만 이러한 모델을 한국에 이식하기에는 제도적 기반과 정치문화가 다르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대원칙은 "정책은 통합하고, 규제는 독립한다"라는 이원적 구조다.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융합 시대에 걸맞은 미디어 생태계를 구성해보자는 것이다. 미디어 정책을 총괄하는 전담 부처를 신설해 진흥·조정 기능을 집중시키고, 방송·디지털 콘텐츠 전반의 인허가 및 심의는 독립적인 위원회에 일임하는 방식이다. 지역언론에 대한 지원도 투명한 기준과 공정한 절차에 따라 이뤄져야 한다. 조직개편의 핵심은 정책의 일관성과 언론의 자율성 사이 균형을 찾는 데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