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르포] 알려지지 않은 만큼 사고도 무방비 '비지정 해변'

기사입력 2025-07-31 17:03

익사사고에도 부산 영도구 비지정 해변은 피서객으로 북적

안전요원·구조장비 없어…"해상 안전 조례 제정 등 근본적 해결책 필요"

(부산=연합뉴스) 박성제 기자 = '젊었을 때부터 종종 수영하던 곳이라 위험하다고는 생각해 본 적이 없어요."

본격적인 휴가철을 맞은 31일 '비지정 해변'인 부산 영도구 중리노을전망대 아래에 있는 바닷가에서 수영하고 나오던 70대 김모씨는 이렇게 말했다.

수영복과 수경을 착용했지만, 구명조끼를 입지 않은 김씨는 거센 너울에 자꾸만 바다 안쪽으로 휩쓸리는 아찔한 상황이 반복되자 결국 밖으로 나왔다.

수영에 자신 있었다는 김씨는 최근 이곳에서 익사 사고가 있었다는 소식을 듣자 화들짝 놀라며 "정말 조심해야겠다"고 말했다.

해경에 따르면 지난 26일 술을 마신 뒤 이곳 바다에 들어간 60대 남성이 주변에 있는 시민들에 의해 구조됐지만 결국 숨졌다.

사고가 발생한 해변은 해수욕장으로 지정되지 않은 '비지정 해변'이다.

현행법상 비지정 해변에는 안전요원이나 구조장비 등을 배치하는 안전조치 의무가 없다.

이 때문에 구조가 제때 이뤄지기 어려워 항상 위험이 도사리는 곳이다.

이를 알리듯 해변 곳곳에는 영도구와 부산해경에서 내건 '수심이 깊고 위험하므로 입수를 자제해야 한다'는 취지의 현수막이 붙어 있었다.

그런데 비지정 해변은 피서객들이 많지 않아 한적한 물놀이를 즐기려는 이들에겐 오히려 인기를 끌고 있다.

이날도 겉으로 보기에는 파도가 잔잔해 마치 수영하기 좋은 것처럼 보이자 피서객 수십명이 해수욕을 즐기고 있었다.

어른, 어린이 구분 없이 스노클링하거나 튜브 위에서 물장구를 치는 이들로 북적였다.

인근에는 텐트를 펼쳐 고기를 구워 먹거나 바다를 바라보며 쉬는 이들로 가득했다.

사실 이날은 해상에 1m 높이의 너울이 강하게 밀려 들어오면서 바다에 들어가기에는 상당히 위험한 기상 조건이었으나 현장에 상주하며 관리하는 이는 아무도 없었다.

연안 구조정을 타고 순찰하던 해경도 물놀이하던 피서객에게 '안전에 주의해야 한다'며 방송을 여러 차례 했지만, 대부분 크게 신경 쓰지 않는 듯했다.

큰 너울이 오는 상황에서도 구명조끼를 착용하지 않은 20대 남성 여러 명이 서로를 잠수시키는 등 자칫 위험해 보이는 장난을 치기도 했다.

심지어 텐트에서 지인들과 술을 마신 뒤 바다에 뛰어드는 이들도 있었다.

친구들과 서울에서 놀러 온 20대 정모씨는 "구명조끼를 입으면 몸이 자꾸 뜨다 보니 수영하기가 어렵다"며 "해운대나 광안리 해수욕장에는 사람이 너무 많아 SNS와 지인들을 통해 숨은 명소인 이곳을 찾았다"고 말했다.

친구와 함께 수영하던 50대 박모씨도 "어렸을 때 영도에 살았는데 예전부터 주민들 사이에서 유명했던 곳"이라며 "최근에는 입소문을 타면서 인파가 늘었는데 전문구조 인력이 없다 보니 위험해 보이기는 했다"고 말했다.

해수욕장을 관리하는 영도구는 최근 비지정 해변에서 사망사고가 발생한 것과 관련해 대책을 세우고 있다.

인명구조함 확충, 위험 안내 표지판·현수막 보강, 순찰 인력 배치, 안전 감시 요원 배치 등이다.

그렇지만 지자체가 자체 예산을 들여 해수욕장이 아닌 곳에 이러한 안전 장비를 투입하기까지는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해경 관계자는 "올해 발생한 물놀이 사망사고 2건 모두 해수욕장으로 지정되지 않은 해변에서 발생한 만큼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며 "해상 안전을 위한 관련 조례를 제정하는 등 근본적인 해결책이 제시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psj19@yna.co.kr

<연합뉴스>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