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 관절 건강 위한 허벅지 근육 강화 운동 '3가지'

기사입력 2025-08-07 14:05


무릎 관절 건강 위한 허벅지 근육 강화 운동 '3가지'
런지 동작  사진 출처=픽사베이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무릎이 아파서 운동을 못 해요."

무릎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들에게 자주 듣는 말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운동을 하지 않아 허벅지 근육이 약해진 것이 무릎 통증의 주된 원인인 경우가 많다. 특히 무릎 관절을 지탱해주는 핵심 근육인 대퇴사두근(허벅지 앞쪽 근육)의 약화는 관절에 직접적인 부담을 주며 통증과 관절염 진행을 가속화할 수 있다.

대퇴사두근은 허벅지 앞쪽 근육으로 보통 걷기, 계단 오르내리기, 앉았다 일어나기 같은 일상 동작에서 무릎에 전달되는 충격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이 근육이 약해지면 충격이 그대로 무릎 관절로 전달되고, 관절염이나 통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실제로 퇴행성 관절염 환자의 상당수가 대퇴사두근 근력이 현저히 약한 상태로 나타나며, 근육이 약할수록 관절에 가해지는 부하가 커져 연골이 빠르게 닳고 통증도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

주안나누리병원 관절센터 김형진 병원장(정형외과 전문의)는 "무릎을 보호하려면 단순히 관절만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그 주변 근육을 키우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대퇴사두근은 무릎의 부담을 덜어주는 대표적인 근육으로, 이를 강화하면 관절염의 진행을 늦추고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불편함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무릎 관절염은 단계적으로 악화되는 진행성 질환이다. 때문에 환자 상태에 따른 적합한 치료법을 단계별로 적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초기 관절염에는 약물치료와 함께 허벅지 근력 강화 운동을 병행해 통증을 줄이고 관절 부담을 완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시기의 적절한 관리만으로도 관절 기능을 충분히 회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중기 단계에서는 약물치료 외에도 관절 내부 윤활을 돕는 히알루론산 주사나 염증 통증완화에 효과적인 스테로이드 성분의 뼈주사, 인대 강화에 도움을 주는 프롤로 주사 등의 주사 치료를 시행하거나 체외충격파, 전기자극 등의 물리치료가 병행된다.

하지만 연골이 광범위하게 닳고, 일상생활이 힘들 만큼 통증이 심한 말기 관절염 환자에게는 인공관절 수술이 필요하다.


최근엔 AI 기반으로 정밀성과 회복력을 모두 높인 로봇 인공관절 수술 주목받고 있다. 로봇 인공관절 수술법은 수술 전 환자의 무릎 뼈 구조와 관절 상태를 3D로 정밀 분석해 최적의 절삭 위치와 삽입 위치를 확인한다. 이는 1㎜ 오차 범위와 최소 절개로 출혈과 감염 위험이 적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김형진 병원장은 "무릎 관절염 치료는 단순히 약물치료나 수술치료만으로 해결되는 것이 아닌, 올바른 생활습관과 운동을 병행해야 효과가 극대화된다"며 "특히 대퇴사두근은 무릎 관절의 부담을 줄여주는 핵심 근육이기 때문에 이 부위를 강화하면 관절염의 진행을 늦출 뿐만 아니라 수술 후 회복 속도도 빨라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관절염 예방과 치료에서 중요한 것은 바로 허벅지 근육이다. 특히 무릎 앞쪽의 대퇴사두근은 걷기, 계단 오르내리기, 앉았다 일어나기 등 일상 동작에서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시키는 핵심 역할을 하기 때문에 꾸준한 강화 운동이 필요하다.

◇무릎 관절 위한 허벅지 근육 강화 운동

-의자 스쿼트

무릎이 발끝을 넘지 않게 주의하며, 의자에 앉았다 일어나는 동작을 10~15회 반복한다. 무릎 부담이 적고 대퇴사두근을 안전하게 강화할 수 있다.

-런지

한쪽 다리를 앞으로 내 딛고 무릎을 90도 굽혔다가 원 위치로 돌아오는 동작을 10~15회 반복한다. 상체를 세우고 중심을 잡는 것이 포인트다.

-벽 스쿼트(월싯)

등을 벽에 붙이고 천천히 내려가 무릎을 90도로 굽힌 상태를 10~30초간 유지한다. 허벅지 근육 전체에 자극을 주며 무릎 관절을 보호하는 데 효과적이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