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성인 10명 중 6명은 건강정보이해능력이 '적절'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청은 건강정보이해능력 측정 도구를 개발해 2023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도입했다. 조사에 사용된 건강정보이해능력 측정도구는 총 10개 문항으로 질병예방(3문항),건강증진(1문항), 건강관리(4문항), 자원활용(2문항)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40점(문항별 4점 척도) 중 30점 이상인 경우를 '적절'한 건강정보이해능력 수준으로 평가했다.
2023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성인 5906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성인의 60.4%가 '적절' 수준의 건강정보이해능력을 가진 것으로 확인됐다.
인구사회학적 특성별로는 여자(62.2%)가 남자(58.6%) 보다 높았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이해능력 수준이 높아 20대의 건강정보 이해능력은 70.5%로 70세 이상(36.0%)에 비해 약 2배 높았다. 또한, 소득과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건강정보 이해능력이 더 높게 나타났다.
건강행태 특성별로는 비흡연, 충분한 신체활동, 건강검진 참여 등 건강한 생활습관을 실천하는 사람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수준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건강정보이해능력에 관한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도입해 국민의 이해 수준과 관련 요인을 체계적으로 파악했다는 데에 큰 의미가 있다"면서, "고령자나 교육수준이 낮은 건강정보 취약계층을 포함한 모든 국민이 건강정보에 쉽게 접근해 활용할 수 있도록 국가건강정보포털 개편 및 맞춤형 건강정보 개발 추진을 통해 국민의 건강수준 향상과 건강 형평성 제고에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