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경제학자들 "AI, 성장률 높일 것…노동시장 불평등 심화는 우려"

기사입력 2025-09-12 17:04

[연합뉴스TV 제공]
[한국경제학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한국경제학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한국경제학회 설문

(서울=연합뉴스) 민선희 기자 = 경제학자들은 인공지능(AI)이 향후 한국 경제 성장에 기여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만 노동시장은 전반적인 직업 전환 압력이 높아지고, 불평등이 심화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12일 한국경제학회의 'AI 정책' 설문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중 63.6%는 AI가 향후 10년간 한국 경제 성장에 미칠 전반적 영향에 관해 '일정 부분 기여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서병선 고려대 교수는 "기술 진보와 융합에 의한 경제 성장을 가져올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성장률을 크게 높일 것'이라는 응답과 '큰 변화는 없을 것'이라는 응답이 18.2%씩을 차지했으며, AI가 경제 성장에 부정적일 것이라고 예상한 응답자는 한 명도 없었다.

경제학자들은 AI 확산이 한국 노동시장에 미칠 주요 영향으로 '전반적인 직업 전환 압력 증가'(44.4%)를 가장 많이 꼽았다.

기존 직종은 유지하더라도 대규모 재교육·직무조정이 필요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불평등 심화: AI 활용 여건에 따른 고용·소득격차 확대'를 꼽은 응답도 전체의 27.8%나 됐다.

이서정 서울대 교수는 "AI에 의해 크게 영향받는 사무직 일자리를 중심으로 일부 일자리가 줄어들고, 커진 파이를 소수가 독점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또한 '고숙련·인지적 일자리 감소: 생성형 AI에 의해 대체'(16.7%), '저숙련·육체노동 일자리 감소: 물리적 AI에 의해 대체'(8.3%) 등이 뒤를 이었다.

AI로 인해 생산성이 높아지면서 전반적인 노동수요, 즉 일자리가 늘어날 것이라고 예상한 응답자는 전체의 2.8%에 불과했다.

경제학자들은 AI 기술 발전과 관련해 정부가 개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봤다.

'제한적 개입: 핵심 인프라와 교육 중심 지원'(39.4%)과 '적극적 개입: 연구개발(R&D), 인프라, 규제 완화 등 전방위 지원'(36.4%)을 택한 응답자가 전체의 75%를 넘었다.

정부가 시급히 추진해야 할 AI 정책 분야로는 '인프라 구축'과 '인재 양성'이 각 27%로 가장 많이 꼽혔고, '법·제도 정비, AI 거버넌스 구축'(21.6%), AI로 인한 불평등·부작용 완화(16.2%), 'AI 생태계 조성·자금지원'(8.1%)이 뒤를 이었다.

학회에 따르면 이번 설문에는 패널 위원 92명 중 33명이 응답에 참여했다.

ssun@yna.co.kr

<연합뉴스>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