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연합뉴스) 김현정 기자 = 중국 당국이 탄소 배출 감축에 어려움을 겪는 상황을 전하며 코로나19 팬데믹, 기후 변화와 함께 '무역 갈등'을 원인으로 지목하며 내부 보고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황 부장의 보고 내용을 포함한 상무위원회 공식 녹취록은 전날(11일) 공개됐다.
그는 이 자리에서 "기후 변화 대응과 탄소 중립 달성에 있어 아직 갈 길이 멀었다"면서 "지속적인 녹색 저탄소 전환 촉진은 난관에 직면해 있으며, 국제 기후 거버넌스 환경은 복잡하고 심각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파리 협정 탈퇴를 발표하면서 전 세계적인 기후 거버넌스가 불확실성에 직면했다"고 언급, 미국의 기후 대응 정책을 우회적으로 비판하기도 했다.
블룸버그는 "최근 몇 년간 대규모 청정에너지 확대에 나선 중국의 노력이 도전받고 있다"고 평가했다.
실제 중국의 태양광 및 풍력 발전 용량은 지난해 1천400GW(기가와트)를 넘어서며 2030년 목표치(1천200GW)를 6년 앞당겨 달성했지만, 에너지 및 청정 공기 연구 센터(CREA)는 중국의 올해 상반기 탄소 배출량이 전년 대비 1% 감소하는 데 그쳤다고 발표한 바 있다.
블룸버그는 "중국은 2025년까지 국내총생산(GDP) 단위당 탄소 배출량을 2020년 대비 18% 줄이겠다고 발표했지만, 지난해 말 기준 감축량은 7.9%에 그쳤다"고 지적했다.
이어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2005년 대비 65% 줄이겠다는 목표를 세웠다"면서 "올해 연간 배출량이 전년 대비 1% 감축된다고 가정하면, 기존 목표 달성을 위해 다음 5개년 계획 목표는 보다 야심찬 '22% 감축'이어야 한다"고 부연했다.
hjkim07@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