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연합뉴스) 임은진 기자 = 한국투자증권은 최근 국내 증시의 랠리를 견인하고 있는 외국인의 매수세가 당분간 반도체를 중심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이 같은 매수세에 대해 그는 "환차익 수요가 아닌 반도체 업황 개선 기대에 기반한 레버리지 플레이"라고 해석했다.
그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뿐 아니라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와 대만 가권 지수도 동반 상승하며 글로벌 반도체 업황 개선에 대한 기대가 강하게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남은 쟁점은 지속 가능성"이라며 "외국인 지분율은 이제야 최근 5년 평균에 도달했고, 단순히 평균 수준으로의 회복을 가정하더라도 추가 매수 여력이 존재한다"고 분석했다.
특히 "반도체 사이클 측면에서도 D램과 낸드 모두의 수급률이 2026년부터 본격적으로 개선될 것"이라면서 "아직 사이클 초입에 있다는 해석이 설득력을 얻는다"고 밝혔다.
그는 "당분간 외국인 수급은 여전히 반도체를 중심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다만 그는 "단기 상승 폭이 컸던 만큼 숨 고르기가 나타날 공산이 있다"며 "코스피 대형주에서 부각된 매수세가 밸류 체인 전반으로 퍼져나가 점차 코스닥 중소형 스타일로 번져 나가는 구간을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engine@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