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딥러닝 기술 기반의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흉부 X-ray로 골다공증의 위험을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기존 골다공증 진단 시 사용했던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법(DXA,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은 검사 비용이 많이 들고, 방사선에 노출된다는 우려가 있어 골다공증의 표준검사로 활용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번 연구는 흉부 X-ray가 효율적인 비용과 높은 접근성으로 조기에 골다공증 환자를 선별하고, 적절한 치료 및 예방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골다공증 환자들에게 안정적인 치료 옵션임을 입증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임상 코호트에서 기존 흉부 X-ray를 사용한 딥러닝 기반 골다공증 진단 모델의 성능 평가'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국제학술지 '흉부 질병 학회지(Journal of Thoracic Disease)' 최신호에 게재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