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중국인 방한객 16% 늘어…추석 연휴에도 '북적북적'

기사입력 2025-10-09 09:16

(서울=연합뉴스) 이진욱 기자 = 추석 연휴를 하루 앞둔 2일 서울 명동 거리가 외국인 관광객과 시민들로 북적이고 있다. 2025.10.2 cityboy@yna.co.kr
[촬영 신선미]
[CJ올리브영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K푸드·뷰티 제품 전면 배치하고 중국인 직원 고용

무비자 입국 직접 효과는 아직…관광공사 "제도 확산에 시간 필요"

(서울=연합뉴스) 신선미 강애란 기자 = 지난달 관광객을 포함해 한국을 찾은 중국인 수가 1년 전보다 1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더해 최근 중국인 단체 관광객 유치를 위한 정책이 잇달아 시행되면서 유통·관광업계에서는 방한 관광 활성화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9일 법무부에 따르면 지난달 입국한 중국인은 52만5천396명으로, 작년 같은 달(45만1천496명)보다 16.4%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다만 지난달 한국을 찾은 중국인은 휴가철을 맞아 외국인 방한 관광객이 많았던 지난 8월(61만3천177명)보다는 적었다.

국내 유통·관광업계에서 중국인 관광객은 주요 고객으로 꼽힌다.

한국관광공사의 한국관광통계 최신 수치를 보면 지난 8월 기준 외국인 방한 관광객 3명 중 1명은 중국인이었다.

또 지난 8월 한국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은 60만5천명으로, 지난 1월(36만4천명)의 1.7배로 늘었고, 코로나19 유행 전인 2019년 8월(57만8천명)보다 많았다.

이번 추석 연휴 기간에도 'K관광 1번지' 명동 등 주요 관광지는 중국의 국경·중추절 '황금연휴'(10월 1∼8일)를 맞아 방한한 중국인 관광객으로 북적거렸다.

지난 7일 명동역 6번 출구 앞에서는 중국의 간편 결제 서비스 '알리페이'의 사은품 증정 행사가 한창이었고, 여러 노점에서는 중국인 아르바이트 인력이 계산을 도맡고 있었다.

이곳에서 만난 상인들은 "가게 직원의 절반 이상이 중국인", "가게에 중국어를 할 수 있는 직원을 항상 두고 있다"며 '손님맞이' 준비를 강화했다고 했다.

이에 더해 최근 중국인 단체 관광객 유치를 위한 정부 시범 사업이 진행되면서 유통·관광업계는 방한 관광객이 더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우선 올해 '관광상륙허가제' 시범 시행에 따라 크루즈 선사가 모객한 3인 이상 중국인 단체 관광객은 비자 없이 입국할 수 있게 됐다.

이에 더해 정부는 지난 달 29일부터 내년 6월 30일까지 중국인 단체 관광객 무비자 입국을 한시 허용하기로 했다.

중국인 단체 관광객이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에 따라 유통업계는 이들이 선호하는 K뷰티와 K푸드 등을 중심으로 마케팅을 강화하고 있다.

롯데·신세계·현대 등 백화점 3사는 중국인 관광객에게 사은품을 증정하는 등 '맞춤형 프로모션'을 마련했다. 면세점들도 중국인 관광객 선호 제품을 강화하고 할인 행사를 진행 중이다.

'K관광 필수 코스'로 꼽히는 CJ올리브영은 명동·홍대·강남 등 글로벌 관광 상권 매장에 '올영 세일'에 준하는 재고를 확보했다.

GS25와 CU 등 편의점은 알리페이 등 간편결제 편의성을 높였고 중국인 관광객 선호 상품을 전면 배치했다.

다만 제도 시행 초기여서 무비자 입국을 신청한 중국인 단체 관광객 수는 아직 많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제도 시행 첫날인 지난 달 29일 기준으로 오는 12일까지 한국을 찾겠다고 무비자 입국을 신청한 중국인 단체 관광객은 329명이다.

이중 중국의 국경절 연휴인 지난 1∼8일 방한을 신청한 무비자 입국 중국인 단체 관광객은 135명이었다.

한국관광공사 관계자는 "보통 여행 계획은 수개월 전에 세우는데 무비자 제도 시행이 이제 막 시작된 만큼 입국 관광객이 늘어나려면 시간이 필요하다"며 "중국 정부도 무비자 시행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는 만큼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여행업계 관계자들도 "개별 관광객은 늘고 있지만 아직 천명 넘는 단위의 관광객 모객은 활발하진 않은 편"이라며 "제도 시행 초반이니 분위기를 보고 모객에 나서겠다는 곳들이 많은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중국인 단체 관광객 무비자 입국 허용에 반대하는 반중(反中) 시위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다.

주한중국대사관은 이달 초 한국에 반중 시위를 우려하면서 재한 중국인의 신변 안전을 요청하기도 했다.

문화체육관광부 관계자는 이와 관련 "상황을 점검하기 위해 경찰청과 연계해 상황반을 운영하고 있으며, 추가 대응 방안 마련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sun@yna.co.kr, aeran@yna.co.kr

<연합뉴스>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