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코스닥 지수 격차 사상 최대…시가총액도 7배 넘어(종합)

기사입력 2025-11-03 16:52

(서울=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 3일 서울 영등포구 한국거래소 홍보관 전광판에 코스피 지수 등이 표시되고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14.37포인트(2.78%) 오른 4,221.87에, 코스닥은 14.13포인트(1.57%) 오른 914.55에 장을 마감했다. 국내 대표 반도체 종목인 삼성전자는 3.35% 오른 11만1천100원에, SK하이닉스는 10.91% 상승한 62만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2025.11.3 yatoya@yna.co.kr
6월 이후 코스피 56.5% 올랐지만 코스닥 상승률은 24.5% 그친 탓

전문가들 "연말부터 종목장세…중소형주로 상승 다변화 현상 가능성"

(서울=연합뉴스) 황철환 기자 = 새 정부 출범 이후 코스피가 사상 최고치를 거듭 갈아치우며 '불장'을 이어온 결과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 시장의 격차가 사상 최고 수준으로 벌어졌다.

3일 코스피는 전장보다 114.37포인트(2.78%) 급등한 4,221.87로 장을 종료했다.

코스닥의 경우 14.13포인트(1.57%) 오른 914.55로 거래를 마쳤다.

코스피를 코스닥 지수로 나눈 값인 상대강도는 4.62배로 역대 최고기록을 경신했다.

코스피 상승세가 본격화하기 전인 지난 5월 말까지만 해도 코스피는 2,697.67, 코스닥은 734.35이었고, 상대강도도 3.67배에 그쳤다.

그러나 이후 5개월에 걸쳐 코스피가 56.50% 급등하는 동안 코스닥 상승률은 24.54%만 올랐던 것이 이처럼 격차가 확대되는 결과로 이어졌다.

금융정보서비스업체 연합인포맥스 자료에 따르면 1996년 코스닥 출범 이후 코스피의 코스닥 대비 상대강도는 일평균 2.48배 수준을 보여왔으며, 2011년 6월 14일 4.49배로 집계된 것이 기존 최고기록이었다.

그러나 지난달 29일 코스피가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4,080대에 올라서면서 코스닥 대비 상대강도가 4.53배로 상승, 14년 만에 최고기록을 새로 쓴 데 이어 이날은 전인미답의 4,200선까지 정복하면서 코스닥 지수와의 격차가 더욱 커졌다.

두 시장의 시가총액 격차도 갈수록 벌어지고 있다.

이날 장 마감 기준 유가증권시장 시가총액은 약 3천475조원으로 코스닥 상장사 시가총액(약 478조원)의 7.27배로 집계됐다.

지난 5월 말 기준 시가총액은 유가증권시장 2천211조원, 코스닥 시장 380조원으로 두 시장의 규모차는 5.82배 수준이었다.

그런 가운데 증권가 전문가들은 연말부터 코스닥 시장을 중심으로 중소형주 강세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을 내다보고 있다.

김두언 하나증권 연구원은 "코스피와 코스닥의 상대강도가 역사적 최고수준으로 확대됐다. 패러다임 변화 속에서 금리인하 기대가 낮아졌다가 다시 불거진다면 포트폴리오 변화가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2008년과 2014년 등 코스피보다 코스닥 상승폭이 컸던 과거 사례의 경우 "코스닥 업종 중 화장품, 조선, 상사/자본재, 제약/바이오, 디스플레이 업종 등에서 상승폭이 컸다"고 말했다.

변준호 IBK투자증권 연구원도 최근 발간한 보고서에서 "연말부터 코스닥 시장을 비롯한 종목장세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일반적 강세장에서 나타나는 대형주 위주의 상승 국면 이후 중소형주로의 상승 다변화 현상이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양 시장의) 갭 확대 수준은 경험적 하단에 위치할 만큼 크게 확대됐고, 중기적인 평균회귀 가능성이 매우 높아진 상황"이라며 "코스닥 및 중소형주가 상당기간 열위에 놓였던 경기·실적·정책·수급적 이유들도 연말부터 해갈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코스닥150 지수의 주당순이익(EPS)이 반등하기 시작했고, 미국 금리인하 재개로 성장주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보이는 데다 정부의 벤처 투자 활성화 및 코스닥 시장 개혁 드라이브가 본격화할 것이란 이유에서다.

특히 최근 수개월 순매수를 지속하며 코스피를 4,000대까지 끌어올린 외국인과 기관 대신 이제부턴 개인투자자가 본격적으로 매수 주체가 될 것이란 점도 코스닥과 중소형주를 긍정적으로 볼 이유라고 변 연구원은 짚었다.

변 연구원은 "경기와 실적, 정책 등을 감안한 우선순위를 생각해보면 코스피 중소형주보다는 코스닥, 특히 코스닥150 지수 내 시가총액 상위종목들에 대한 관심이 선제적으로 나타날 전망"이라면서 "코스닥 시가총액 비중 3대 상위업종인 반도체 소부장(소재·부품·장비), 바이오, 2차전지가 종목장세의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hwangch@yna.co.kr

<연합뉴스>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