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세종병원 '경피적 폐동맥판 삽입술(PPVI)' 150례 돌파

기사입력 2025-11-05 08:13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부천세종병원(병원장 이명묵)이 '경피적 폐동맥판 삽입술' 성공 150례를 돌파했다.

경피적 폐동맥판 삽입술(PPVI, Percutaneous Pulmonary Valve Implantation)은 일부 상급종합병원(3차 의료기관)에서만 시행되는 고난도 심장 시술이다.

부천세종병원이 이 같은 고난도 시술에서 우수한 성과를 내며, 국내 유일 심장전문병원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는 한편, 2차 의료기관의 위상을 한층 높였다는 평가다.

부천세종병원은 지난 2017년 심한 폐동맥 역류를 동반한 팔로사징후 환자에게 처음으로 PPVI를 시행한 이래 최근 이 같은 성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PPVI는 흉부를 절개하지 않고 대퇴정맥 등 말초 정맥을 통해 도관(카테터)을 삽입해 심장에 접근한 뒤 우심실유출로(native RVOT), 우심실-폐동맥 인공도관(RV-PA conduit), 또는 기존에 삽입된 생체(조직) 폐동맥판막 부위에 스텐트 일체형 인공 폐동맥판막을 경피적으로 삽입·전개하는 고난도 시술이다.

PPVI는 우심실유출로 재건술을 포함한 교정 수술 또는 폐동맥판막 중재 시술을 받았던 환자 가운데, 중증도 이상의 우심실유출로 협착이나 중증도 이상의 폐동맥 판막 기능부전을 보이는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된다.

통상 이 같은 환자에게는 흉부를 절개해 심폐기를 가동한 뒤 판막을 교체하는 개흉하 폐동맥판막 치환술이 시행된다.

그러나 흉골 절개로 인한 통증, 입원 및 회복 기간의 연장, 반복 수술에 따른 유착과 출혈 위험 증가 등 한계가 있다.


PPVI는 이러한 수술적 한계를 보완하고, 무엇보다 재수술 시점을 늦추며 재수술 횟수를 줄이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부천세종병원은 PPVI 성공적인 시행을 위해 완전한 다학제 협진 체계와 전담 인터벤션팀을 구축했다.

인터벤션팀은 전원 소아심장 전문의인 김성호·장소익·방지석·김정윤 과장으로 구성됐다.

특히 부천세종병원은 PPVI에 대한 전 과정을 표준화했다.

먼저 시술 전 소아심장 심초음파팀과 영상의학과의 긴밀한 협력 아래 자기공명영상(MRI)·컴퓨터단층촬영(CT)·초음파를 활용해 정밀한 해부학적 평가를 시행한다.

이어 소아심장과·소아흉부외과·흉부외과가 함께하는 컨퍼런스를 통해 적응증의 적절성을 재확인한다. 필요한 경우 추가 시술 전략까지 사전에 확정한다.

정밀 영상 기반의 환자 선별, 적응증 설정, 시술 전 다학제 평가·회의를 통해 철저한 계획과 안전 검증 체계를 마련한 이른바 '세종형 표준(Sejong Standard)'을 확립한 것이다.

이명묵 부천세종병원장은 "탄탄한 체계 구축과 표준화, 그리고 높은 숙련도가 시술의 품질을 높이고 합병증 위험을 획기적으로 낮추는 핵심 요인"이라며 "이 같은 기반 위에서 PPVI 분야에서 매우 우수한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그동안 축적한 임상 경험과 근거를 토대로 앞으로도 교육과 연구를 더욱 확대해 '안전'과 '결과'로 그 성과를 입증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부천세종병원 '경피적 폐동맥판 삽입술(PPVI)' 150례 돌파
부천세종병원 인터벤션팀이 PPVI 150례 달성을 축하하며 기념 촬영하고 있다. (오른쪽부터)소아청소년과 김성호·김정윤·장소익·방지석 과장.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