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연합뉴스) 박주영 기자 = 한국기계연구원은 함정 유류화재를 초동 진압할 수 있는 자율형 소화체계를 개발, 실제 함정에서의 실선 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6일 밝혔다.
연구팀이 개발한 함정 유류화재 초동진압용 소화체계는 기관실, 격납고, 갑판 등에서 발생하는 유류 화재를 자율적으로 탐지하고 해상의 파도와 선체 운동으로 인해 흔들리는 조건에서도 소화수를 제어, 정확하게 조준할 수 있는 기술이다.
화재탐지센서, 소화모니터와 함께 인공지능 기반 화재 진위 판단과 위치 추정 기능을 갖춘 분석·제어장치로 구성돼 있다.
화재감지 정확도는 98% 이상으로, 실제 함정 시험 시 해상상태 3(파고 0.5∼1.25m)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실제 함정 환경을 재현한 대규모 육상 모사설비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안전연구소에 구축, 다양한 유류화재 조건과 화재로 오인될 수 있는 용접·전기 히터 등 비화재 상황을 재현해 인공지능 시스템의 정확도 시험을 수행했다.
탁 트인 장소와 차폐물 내에서의 화재 진압 시험 모두 성공적으로 완료했으며, 파고 1m의 해상 환경에서 18m 떨어진 가상의 화원(火原)에 소화수를 정확히 조준하는 데 성공했다.
이혁 선임연구원은 "이번 시험을 통해 실제 함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유류 화재에 대응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며 "함정은 물론 탄약고, 군수품창고, 항공기 격납고, 해양플랜트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jyoung@yna.co.kr
<연합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