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해킹 사태 영향은 4분기 반영…유심 교체·과징금 변수
이번 영업이익은 연합인포맥스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 5천6억원을 7.5% 상회했다.
별도 기준 영업이익도 전년 동기 대비 0.6% 증가한 3천409억원으로 집계됐다. 매출은 7조1천267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7.1% 늘어났고, 당기순이익은 4천453억원으로 16.2% 증가했다.
KT는 클라우드·데이터센터(DC)·부동산 등 주요 그룹사 중심의 성장과 강북본부 부지 개발에 따른 일회성 부동산 분양이익이 반영돼 영업이익이 이같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무선 사업에서 무선 서비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7% 증가했다. 2025년 3분기 기준 5G 가입자는 전체 핸드셋 가입자의 80.7%를 차지했다.
최근 발생한 무단 소액결제 등 해킹 사태의 재무적 영향은 이번 분기에는 제한적으로 반영됐다. 전체 고객 유심 교체 비용과 정부 과징금은 4분기에 반영될 전망이다.
유선 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했다. 인터넷 사업 매출이 2.3% 늘었고 미디어 사업은 전년 동기 대비 3.1% 증가했다.
기업서비스 매출은 저수익 사업의 합리화 영향이 이어졌으나 기업메시징과 기업 인터넷 등 요인으로 전년 동기 대비 0.7% 증가했다.
AI·IT 매출은 일부 사업의 구조개선과 설계·구축·운영(DBO) 사업의 기저효과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감소했다.
KT 클라우드는 DC와 AI, 클라우드 사업의 성장세가 이어졌다.
공공 부문을 중심으로 AI 클라우드 사업 수주가 확대되고, 가산 AIDC 완공으로 신규 데이터센터가 확보되면서 DC 및 클라우드 사업 모두 안정적인 매출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KT는 내다봤다.
KT에스테이트는 오피스와 호텔 등 임대 부문이 고르게 확대되는 등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늘었지만, 콘텐츠 자회사는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 편수 감소로 매출이 줄었다.
케이뱅크의 9월 말 기준 고객 수는 1천497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300만명 늘었다. 수신 잔액은 전년 동기 대비 38.5% 증가한 30조4천억원, 여신 잔액은 10.3% 증가한 17조9천억원을 기록했다.
KT는 컨퍼런스콜에서 4분기 실적에 대해 "계절성 비용과 현재 시행 중인 고객 보상안 비용이 반영돼야 하고 과징금 등의 불확실성도 있기에 보수적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올해 연간으로는 그간의 매출 성장과 수익성 개선 노력, 일회성 이익 등 핵심사업 중심의 그룹사 성장을 통해 연결·별도 기준 모두 전년 대비 성장할 걸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해킹 사태가 미칠 재무적 영향으로는 "전 고객 대상 유심 교체 비용은 4분기 반영될 예정이고, 무료 데이터 제공이나 15만원 단말 요금 할인 등 피해 고객 대상 혜택은 미래 발생 시점에 인식될 예정"이라고 했다.
한편, KT 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김영섭 대표의 후임 대표 후보군 구성 논의를 시작으로 최근 선임 절차를 공식 개시했으며 연내 대표이사 후보 1인을 확정할 계획이다.
진행 중인 기업가치 제고 계획(밸류업 프로그램)은 대표이사 변경과 무관하게 지속될 것이라고 KT는 설명했다.
KT CFO 장민 전무는 "고객 신뢰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고객 보호 조치를 신속히 이행하는 동시에 정보보호 체계와 네트워크 관리 강화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안정적인 재무 구조를 기반으로 주주환원 정책을 충실히 이행해 시장 신뢰를 높이고, 통신 본업과 AX 사업의 성장을 통해 지속적인 기업가치 제고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binzz@yna.co.kr
<연합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