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진드기 매개 감염병은 바이러스나 세균에 감염된 일부 진드기에게 물려 감염되는 질환이다. 국내에서는 쯔쯔가무시증과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이 대표적이다. 매년 가을철(10~11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며 특히, 추수철 농작업이나 등산, 캠핑 등 야외 활동이 많아지는 시기에 주의가 필요하다.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SFTS)은 SFTS 바이러스를 보유한 작은 소피 참진드기에게 물려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질환으로, 고열과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SFTS 환자는 매년 약 200명 내외로 보고되고 있고 특히, 10월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치명률은 약 18.5%로 매개체 전파 감염병 중 가장 높은 편에 속하지만, 현재까지 백신이나 치료제가 없어 예방이 최선의 방어책인 질환이다.
진드기 매개 감염병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진드기에게 물리지 않는 것이다. 야외 활동이나 농작업 시에는 긴팔, 긴바지, 양말 착용으로 피부 노출을 최소화하고, 진드기 기피제 사용이 권장된다. 또한, 풀밭에 바로 앉거나 눕는 행동을 피하고, 야외 활동 후에는 즉시 샤워 및 옷 세탁을 해야 한다. 특히, 진드기 서식이 잦은 지역에는 가급적 방문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감염내과 윤영경 교수는 "진드기 매개 감염병은 감기와 증상이 비슷해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며 "야외 활동 후 1~3주 이내에 구토, 설사, 두통, 고열과 같은 증상이 발현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윤 교수는 "최근 기후 변화로 진드기의 활동 시기가 점점 길어지면서 감염 위험이 커지고 있다"며 "예방 수칙을 생활화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백신임을 기억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