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사랑니는 치아 중 가장 늦게 나오는 어금니로 보통 성인이 될 무렵인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에 나온다. '사랑'이라는 예쁜 이름을 갖고 있지만, 통증을 유발하고 주변 치아 손상 등 문제를 일으켜 발치를 해야 하는 상황을 마주할 수 있다. 잇몸 아래나 턱뼈 속에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덮여 있는 것을 '매복 사랑니'라고 하는데, 많은 치과 의사들은 뿌리가 자라나는 만 17세 전후 발치를 권장한다.
특히 하악(아래턱)에 생긴 사랑니는 웬만하면 발치하는 것이 좋다. 하악 사랑니는 하지조신경과 가까워 방치할수록 위험하고 주변 치아 손상, 염증, 낭종을 유발할 수 있다. 시간이 지날수록 사랑니 뿌리가 길어지고 신경과 더 가까워져 발치 난이도가 어려워진다. 사랑니로 인한 증상이 중년이 되어 뒤늦게 나타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럴 경우 발치 후 통증이 심하고 신경 손상 가능성도 높아진다.
세란병원 치과 구강악안면외과 전문의 오민석 과장은 "하악 사랑니는 시기의 문제일 뿐, 언젠가는 문제를 일으키기 때문에 적극 발치를 권장한다. 사랑니 발치는 파노라마 X-ray와 CT 촬영으로 신경과의 거리, 치아의 방향, 뿌리 모양, 낭종 여부를 평가한 후 진행한다"고 설명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