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마 최강마 가리자! 제43회 그랑프리, 승자는

기사입력 2025-11-28 02:43


오는 30일 렛츠런파크 서울에서 펼쳐질 제43회 그랑프리(G1, 2300m, 혼OPEN)를 향한 열기가 고조되고 있다.

그랑프리는 국내 유일의 2300m G1 경주. 현존 대상 경주 중 가장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한다. 한 해 동안 쌓아온 모든 기록, 명성, 자존심이 단 한 번의 질주로 정리되는 무대다. 2015년 혼합 OPEN 경주로 전환된 이후 그랑프리의 우승은 부산경남 경주마가 6회, 서울 경주마가 3회 차지하며 지역 간 자존심 경쟁을 이어왔다. 올해는 부산경남 6두, 서울 9두, 일본 원정마 1두가 출전하며 어느 해보다 다채로운 구성으로 관심을 모으고 있다.


한국경마 최강마 가리자! 제43회 그랑프리, 승자는
◇스피드영. 사진제공=한국마사회
[부]스피드영 (27전 7/5/7, 레이팅 117, 한국 수 5세 갈색, 부마: 메니피, 모마: 태피스트리, 마주: ㈜디알엠씨티, 조교사: 방동석, 기수: 정도윤)

대통령배 우승으로 2인자 꼬리표를 지웠다. 그동안 출발과 코너링에서 힘을 과도하게 쓰며 체력 안배가 약점으로 지적됐지만, 직전 대통령배에서는 이를 완전히 극복하며 한 단계 성장한 완성형 경주마로 평가받았다. '메니피' 자마답게 거리 불문 꾸준한 성적을 이어온 데다, 올해 대상경주 중 단 한 번을 제외하고 모두 순위권에 들어오며 안정감을 증명해오고 있다.


한국경마 최강마 가리자! 제43회 그랑프리, 승자는
◇석세스백파. 사진제공=한국마사회
[부]석세스백파 (19전 7/1/5, 레이팅 116, 한국 수 4세 회색, 부마: 퍼지, 모마: 백파, 마주: 이종훈, 조교사: 민장기, 기수: 진겸)

경주거리가 길어질수록 진가가 드러나는 말. 한국경마 최장거리 2300m 무대에서 한 해를 장식하기 위해 출전하는 만큼, 과거 '글로벌히트'와 '스피드영'을 제치고 KRA컵 클래식에서 압도적인 거리차로 우승한 저력을 다시 한 번 재현할지 기대가 모인다. 화려한 스타성은 부족할 수 있지만, 꾸준함과 근성만큼은 누구보다 강하게 빛나는 타입이다. 특히 장거리에서 강한 면모가 뚜렷해, 거구에서 뿜어져 나오는 파워와 넓은 주폭은 전문가들로부터 장거리 최적화형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국경마 최강마 가리자! 제43회 그랑프리, 승자는
◇글로벌히트. 사진제공=한국마사회
[부]글로벌히트 (21전 12/4/1, 레이팅 115, 한국 수 5세 갈색, 부마: 투아너앤드서브, 모마: 태미즈빅트리스, 마주: 김준현, 조교사: 방동석, 기수: 서승운)

올 시즌은 몸 상태 난조로 다소 아쉬운 성적을 거뒀지만, 꾸준히 컨디션을 끌어올리며 정상 복귀를 준비해왔다. 약 3년간 호흡을 맞춘 김혜선 기수 대신 이번에는 부경 다승 1위 서승운 기수가 기승한다. 비록 첫 호흡이지만, '명마+최강 기수' 조합이라면 다시 왕관을 노려볼 충분한 카드다.


한국경마 최강마 가리자! 제43회 그랑프리, 승자는
◇강풍마. 사진제공=한국마사회

[서]강풍마 (23전 9/5/3, 레이팅 106, 한국 수 5세 밤색, 부마: 피스룰즈, 모마: 원더드리머, 마주: 박남성, 조교사: 김동철, 기수: 조재로)

어린 시절 질병을 딛고 그랑프리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단거리부터 장거리까지 폭넓은 거리에서 승리를 거두며 언더독의 한계를 넘어선 잠룡의 면모를 증명해왔다. 직전 대통령배에서는 아쉽게 3/4마신 차 준우승에 머물렀지만, 결승선 통과 순간까지 여력이 남아 있었을 만큼 잠재력은 위협적이었다. 모마 원더드리머의 혈통에서 이어진 당당한 체구와 악벽 없는 성격도 큰 강점이다.

[일본]유메노호노오 (26전 20/3/1, 레이팅 97, 일본 수 5세 밤색, 부마: BATTLE PLAN, 모마: TELEPHOTOGRAPH, 마주: 스다 야스유키, 조교사: 다나카, 기수: 요시하라)

일본 고치경마장의 히어로 '유메노호노오'가 다시 한국 무대를 찾았다. 고치경마장 외 트랙 경험이 거의 없다. 지난 4월 YTN배에서 첫 원정에 나섰지만, 긴 수송 시간과 주행 방향 등 익숙하지 않은 변수에 부딪혀 아쉬운 성적을 남겼다. 추입 전개가 주특기지만 최근 선행으로도 대승을 거두며 전력의 폭을 넓혔다. 두 번째 한국 원정에서 어떤 전략과 퍼포먼스를 선보일지 팬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박상경 기자 ppark@sportschosun.com

Copyright (c) 스포츠조선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Copyright (c) 스포츠조선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